3.137.164.241
3.137.164.241
close menu
KCI 등재
공유 텍스트를 통한 한국어교육의 한 방법
A Study of a Metho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the Co-experienced Text
김동환 ( Dong Hoan Kim )
국어교육학연구 31권 297-321(25pages)
UCI I410-ECN-0102-2009-710-008453337

이 논의는 일차적으로는 한국어교육에서 문학텍스트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논하는 맥락에 속하지만 넓게는 한국어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설계이기도 하다.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은 ``한국어생활 텍스트``, ``한국어문화 텍스트``, ``한국어예술 텍스트``라는 세 국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 본다. 그리고 이러한 국면들은 선택적인 것이 아니라 가능하면 단계성을 지니고 연계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논의에서 전제로 삼고 있는 것은 학습자들이 이미 경험했을 법한 텍스트와 유사한 자질이나 요소를 지닌 텍스트 즉 공유 텍스트를 찾는 일이다. 학습자들이 교육이나 독서를 통해 모국어로 경험했을 텍스트와 견줄 수 있는 한국어텍스트가 있다면 학습효과가 매우 수월하고 생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기 때문이다. 공유 텍스트를 ``한국어생활 텍스트``라는 맥락에서 접근해 가는 일은 그것을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어휘, 문법 등의 기본적인 학습 활동의 자료로 삼는 것을 의미한다. 그 학습의 결과가 학습자의 한국어 생활을 이끌어줄 수 있으리라는 판단이다. ``한국어문화 텍스트``라는 맥락은 그것에 나타나는 한국어 사용원리와 같은 한국어문화를 학습하는 일과 그 자체를 향유대상으로 삼는 일의 두 가지를 아우르는 측면이다. ``한국어예술 텍스트``의 맥락은 한국어교육이 일상적 생활이나 문화 향유의 측면에서 나아가 한국어를 바탕으로 언어적 창조의 차원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학습자들을 위한 배려도 필요하다는 맥락이다. 이 논의에서 주목하고자 한 것은 텍스트에 대한 비교문화적인 접근의 생산성과 효용성이다. 지역적, 민족문화적 변이양상을 보이는 광포설화와 같은 텍스트를 통해 한국어문화 텍스트에 접근해가도록 한다면 수월성과 효용성이 높은 교육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낯선 문화에 대한 정서적인 거리감을 줄여줄 수 있다는 점은 한국어교육 설계 시 일차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가 아닌가 판단된다. 이에 대해서는 ``징검다리 문화``라는 방법적 개념을 통해 확장된 논의로 제시할 것이다.

It will be desirable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utilizing a Literary Text to be accomplished on the three phase, treating a text as a Korean Language Culture text, a Korean Language Arts text, a Korean Language Living text. These phases are not selective, those are to be designed for a grade system In this article, the text means a co-experienced text by foreigner and korean teaching matter. The co-experienced text is very useful and productive matter for Language Education. Because the co-experienced text involves the properties and factors that is regarded as a already experienced objects in mother tongue of learner. Dealing with the co-experienced text as a Korean Language Living text means that teacher utilize it as a material of basic learning works, speaking, hearing, writing, reading, grammar, vocabulary. Dealing with the co-experienced text as a Korean Language Culture text means that teacher utilize it, as a material of using principle in korean language, and as a material for teaching of Korean culture. Dealing with the co-experienced text as a Korean Language Arts text means that teacher utilize it as a teaching media of creating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by foreigner. In this article, the usefulness and productivity of approach based on the comparative cultural theory is also very importantly considered. In that respects, the co-experienced text shall be studied to the widening dimensions. This article will be connected with the methodological concept, ``stepping stones culture``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