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06.14.46
18.206.14.46
close menu
KCI 후보
The Subversion of the Victorian Family Ideal in George Eliot`s The Mill on the Floss
임순희 ( Soon Hee Lim )
근대영미소설 7권 1호 237-262(26pages)
UCI I410-ECN-0102-2009-840-019908175

19세기 중엽의 영국 소설은 이상적 가정의 성립으로 끝나는 내러티브 패턴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중산층가정을 산업자본주의의 영향력에 맞서서 정서적, 도덕적 안녕과 질서를 구현할 수 있는 유토피아적인 공간으로 설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적 영역으로서의 가정은 공적 영역으로서의 경제, 정치영역과 구별되어 존재하는 낙원, 즉 생전경쟁과 약육강식의 사회를 벗어나서 존재하는 협력과 조화, 사랑을 구현할 수 있는 세속적 낙원의 위치를 부여받게 된 것이다. 영역분리에 의거한 이러란 가정의 이상은 디킨즈를 비롯한 빅토리아 시대의 작가들에게 중요한 소설적 이슈가 되고 있는데, 이는 조지 엘리엇에게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논문은 엘리엇의 자전적 소설 『플로스 강가의 물방앗간』(1861)의 분석을 통하여, 케니 마로타(Kenny Marotta)와 마리아나 토고브닉(Mariana Torgavenick)같은 비평가들이 피력한 엘리엇의 가정관, 즉 엘리엇은 통상적으로 자신의 작품에서 빅토리아 가정의 에토스와 부르주아 가치에 대한 도전을 억누르고 있다는 견해를 반박하고자 한다. 오히려 여성작가로서의 엘리엇은 빅토리아 시대의 가정 이상이 성(性)간의 영역분리 이데올로기와 가부장적 질서를 합리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예리하게 비판하고 있으며, 가정이 빅토리아 시대의 여성에게 정서적 충족의 장소로 내세워짐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서사적 삶의 가능성을 막고 있다는 이율배반을 폭로하고 있는 것이다. 『플로스 강가의 물방앗간』에서 주인공 매기 털리버의 가정과 외가인 도슨 가분은 각각 그 구성의 기반이 가부장적 체제와 물질주의라는 면에서 혹독한 비판을 받고 있으며, 따라서 두 가문에 속한 여성들이 내세우는 `집안의 천사`의 이미지는 그 허구성을 여지없이 드러낸다. 따라서 매기의 서사적 욕망은 여성 역할의 고정성 및 아버지와 오빠, 톰 털리버로 표상되는 가부장적 압박 속에서 화해할 수 없는 비극적 결말을 향해 나아간다. 톰과 매기가 오직 죽음 속에서만 마지막 유토피아적인 화해를 이룬다는 사실은 그녀의 꿈과 그녀가 속한 가정 현실 사이의 간격을 더욱 극명하게 노출시키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엘리엇은, 『여성의 종속』에서 존 스튜어트 밀이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가정 영역 내에서 가부장적인 위계질서가 가족 구성원내의 동반자적 관계를 파괴하는 원인임을 조명하고, 성간의 평등과 친밀성이 강화된 새로운 가족 질서에 대한 갈망을 극대화시키고 것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