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4.141
3.149.234.141
close menu
KCI 등재
해러웨이: 기술과학 안에서 전략적 장으로서의 물질-기호적 몸
Haraway: Material-semiotic body as Strategic field in Technoscience
현남숙 ( Nam Sook Hyun )
시대와 철학 19권 3호 271-299(29pages)
UCI I410-ECN-0102-2009-150-020380531

본 글의 목적은 해러웨이(Haraway, D)의 몸 정치학이 여성주의 안에서 특히 생식기술과 관련하여 갖는 실천적 의미를 논구하는데 있다. 해러웨이의 몸 정치학은 다음의 점에서 여성주의적 실천에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첫째, 몸을 물질-기호적 차원에서 접근함으로써 가부장적 문화의 토대인 몸의 물질적 완결성이나 의미의 고정성에 대항한다. 둘째, 생물학적 몸이 기술과학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고 봄으로써 섹스, 젠더에서의 성 이분법과 결정론을 넘어선다. 셋째, 생식기술과 관련해 가장 주변화된 집단의 상황을 생식의 자유에 관한 판단의 준거틀로 삼음으로써 성ㆍ인종ㆍ계급 간 차이를 포괄하는 과학기술의 민주주의를 지향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해러웨이의 몸 정치학은 기술과학 특히 생식기술 안에서 여성의 몸이 전략적 장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Why Haraway`s body politics is important in feminist practice? First, material-semiotic body is a new approach in respect of objecting body`s material completion and semantical fixedness. Second, material-semiotic body is technoscience-friendly in regarding body as changeable. Especially Haraway`s cyborg theory challenges the dichotomy and determinism of sex/gender. Third, situational knowledge produced by point of view of most marginal groups in a society aims to techno-scienfic democracy including differences in sexuality, race, class etc. Haraway`s body politics seems to be important in respect that it regards women`s body as a strategic field in technoscience especially, reproductive technolog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