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181.209
3.22.181.209
close menu
KCI 등재
대학 교양교육의 위기와 인문학의 미래
The Crisis of Lib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and the Future of the Humanities
김성우 ( Seong Woo Kim ) , 최종덕 ( Jong Duck Choi )
시대와 철학 20권 1호 11-42(32pages)
UCI I410-ECN-0102-2012-910-000147275

교양의 본래적 뜻은 인간의 덕성과 주체성을 키우기 위한 문화적 교육의 내용과 절차이다. 구체적으로 이런 교육은 서구 중세 이후 대학이 담당해 왔으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학 일반교육의 중추를 유지하고 있다. 대학 교육 커리큘럼에서 19세기 학문의 분화가 일어나면서 교양은 대학 교양교과의 지위로 설정되었다. 이런 점에서 대학 교양이 인간의 기본적인 덕성과 지성을 갖추는 보편 교육임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전공교육과는 독립적으로 한 인간이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스스로 확보하는 사람됨의 주체성과 덕성을 키우는 것이 교양교육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많은 대학에서 교양교과가 진정한 교양의 위상보다는 전공교과를 준비하기 위한 예비적 기초과목으로 인식되는 것이 문제다. 게다가 한국사회에서뿐만이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자유경쟁의 논리가 교육의 공공성을 침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자유 경쟁의 논리를 대표하는 미국뿐만 아니라 이와는 대조적으로 국가관리체제로서 공교육을 운영하는 일본에서도 대학의 교양교육은 점차 약화되고 대신 단기적인 성공에 기초가 되는 전문교육을 조기에 시작하자는 자본화된 시장주의적 교육 편향이 대세이다. 그러나 이는 문제의 해결이 아니라 문제의 악화로 보인다. 그 중의 한 문제는 비판능력의 부재와 전반적인 학력저하 현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문학은 교양인문학이 되어야 한다. 사회문제에 접근하는 통로로서의 교양에 대한 접근을 통해 인간에 대한 통찰과 자연에 대한 통찰이 더불어 계발되어야 그러한 교양의 싹이 자라날 것이다. 사회에 대한 피상적인 견해가 아닌 구조적 이해를 획득하려면 인문학과 자연과학에 대한 단순히 폭에 의한 박학도 아니고 대중영합적인 학제간 공동교육이 아니라 치밀한 고전학습과 현대조건에 대한 다양한 정보수집을 통해 생겨난 심오하고 절박한 물음제기가 있어야 한다. 교양이란 문제를 발견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전략을 구상하고 실행하는 능력인 것이다. 이런 교양을 통해 자신과 사회와 자연을 자각하는 대학인이 진정한 의미의 지성인으로 그리고 자신에 대한 주체적 정체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교양 교육에 기여하는 인문학은 덕성과 주체성을 찾는 인문학이어야 한다. 이를 우리 필자들은 교양인문학이라고 부른다.

The Liberal arts does originally mean the contents and procedures of cultural education to raise the Human morality and subjectivity. The liberal education have been covered by a university since the medieval of the West, and remained the core of general education in it. Being division of labor among sciences in the seventeenth century, liberal education have been positioned as a faculty of gener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is aspec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liberal education in a university is the general one to aim at a human being`s having the elementary morality and intelligence, for it is the kernel of liberal education to raise human morality and subjectivity by which a man acquires the value as a human being for oneself regardless of major education. It is the problem that liberal education is regarded as preliminary primary subjects rather than as the position of real universal education in many universities. Besides, the logic of capitalism violates the publicity of education not only in Korean, but also in the world. In addition to the USA which represents the logic of capitalism, college liberal education is also weakening in Japan where public education is operated under the state`s hegemony. And now, it is a mainstream of education which the market-oriented tendency is, which asserts that major education be earlier provided for short-term success. Anyway, it is not a solution, but the worsening of the educational problem. The examples of it are the absence of critical thinking and the appearance of the general decline in the scholastic ability. In this situation, the humanities should be the subject of humanistic education. The culture(Bildung) as a way approaching social problems should be cultured with the insight into the human being and the nature so that the bud of such a culture can grow up. In order to acquire not a superficial view, but a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society, we need profound and urgent questions raising on the basis of careful learning of the classics and of diverse collection of information, not of simple erudition and not of popular interdisciplinary studies. The culture is a ability to discover and solve problems, and to plan and operate strategies. The university student who realizes one`s self, society, and nature through this culture can be an intellectual in its real sense, and have the subjective identity of one`s self. The humanities which contribute to this liberal education should be ones to search for human morality and subjectivity. We call these the humanistic edu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