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1.86
18.191.21.86
close menu
KCI 등재
우산본 <복선화음록>의 특성 연구
On the Characteristics of a version owned by WooSan
윤주필 ( Ju Pil Yoon )
UCI I410-ECN-0102-2012-690-000153723

변형계녀사의 성격을 띠고 있는 <복선화음가>는 아주 많은 이본을 거느리고 있는 유형이다. 그것은 대개 가난한 집으로 시집간 여성이 큰 재산을 모으고 남편과 아들을 성취시킨 후에 혼사를 앞둔 딸에게 훈계하면서 악행으로 패가망신한 괴똥어미 내력을 곁들여 들려주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단락은 치산내력, 계녀훈, 괴똥사설이다. 계녀사라는 이 가사유형의 본래 취지를 가운데 두고 작중화자의 긍정적 경험담과 괴똥어미의 부정적 목격담이 에워싸고 있는 형국이다. 계녀훈의 진실성이 이중으로 보강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전통사회에서 여성의 힘만으로 그같은 치산과 성취를 실제로 이뤄낼 수 있는가? 또 그 목적은 궁극적으로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를 옹호 유지하기 위한 것인가? 이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복선화음가>는 구한말에서 일제초기까지 세 계열로 변모되어 갔던 것으로 판단된다. Ⅰ계열은 액자구조에 충실하면서 개인서사에 초점을 맞춘 기본형이며, Ⅱ계열은 계녀사설에 구체적 행동강령과 생활적 지식을 추가하여 교술적 내용을 확대한 변이형이며, Ⅲ계열은 괴똥사설을 약화시키고 내포화자의 신분을 상층가문으로 바꾸면서 가문서사로 방향을 틀은 또 하나의 기본형이다. 우산본은 대체로 Ⅲ계열의 특징을 극단화하면서 Ⅰ계열보다는 6.5배, ⅡⅢ계열보다는 3~4배로 그 분량을 대폭 늘린 특이한 이본이다. 그것은 부(富)와 귀(貴)를 동시에 성취한다는 새로운 주제의식을 다루면서, 여성의 욕망과 그 충족이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상상해 보았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우산본은 일제시대 이후에 창작된 작품으로서 당시의 어휘나 분위기가 곳곳에서 드러난다. 반면 작품내용은 숙종에서 정조까지의 노론 벌열가문을 배경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간극은 사실과 허구의 가상적 결합이라는 우산본 특유의 상상력으로 봉합되고 있다. 그것은 작중화자나 시집식구의 가공적 인물상, 벌열가문의 안살림과 바깥일, 여성의 치산과 문화향유 의식이라는 여러 측면에 일관되게 작용하고 있다. 사실관계에 있어 여러 모순점을 드러내지만 굳이 노론 벌열가문의 가상적 삶을 통해 여성의 부와 귀를 꿈꾸고자 했던 것은 우산본 <복선화음록>의 상상력이며, 이 이본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그러나 우산본은 부의 축적보다 신분의 고귀함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은 <복선화음가>의 여러 계열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결과이다. 부유한 물화를 온전하게 누리는 길은 가정이라는 한정된 범위에서 보장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문제의식으로 제기했다. 물화를 인간 관계 속에서 어떻게 누리고 베풀 것이냐의 문제를 두고 우산본은 전근대적 가치관인 귀족가문으로서의 번영에다가 꿈을 기탁했다. 그러나 벌열가문을 지탱해 줄 물리적, 이념적 보호막이 제거된 일제시대에서 그것은 서술자가 작품 대미에서 스스로 밝혔듯이 한갓 "봄꿈 같은 일"에 불과하다. 하지만 어렴풋하나마 돌파구 비슷한 것이 숨어있기는 하다. 그것은 전통문화와 연희에 대한 여성적 관심과 계승의식이었다.

, which is a type of transformational poetry of advising daughter, have a great many of versions. They have story geneally that a woman to be married to the poor family make fortune, let husband and sons succeed in passing Kwago(科擧), subsequently advise her duaghter just before marriage, accompaning KeoTongMother`s history to go to ruin because of her wrongdoing. Among this story, more important parts are making fortune, advising daughter, and KeoTong history. It is appeared that the original point i.e. advising remarks in this Kasa(歌詞)-type called `poetry of advising daughter`, are surrounded with the interior narrator`s positive story of experience herself and KeoTongMother`s negative story to be observed. The fidelity of that remarks are built up twofoldly. However there are sevral problematic consciousness in this type. In traditional society can really a woman accomplish such making fortune and her family`s succeeding? And are ultimately her aims in order to support male-oriented patriarchal system? In the midst of such consciousness this type has been derived to three groups from the last period of Choson Dynasty to the first time of Japanese colonialism`s rule. 1st group is one basic sort to sustain picture-frame structure and to focus on individual narrative. 2nd group is a tranformational sort to add practical principles of behavior and knowledges in life, hence to enlarge didactic parts of contents. 3rd group is another basic sort to weaken KeoTongMother`s story, to change the interior narrator`s status to high rank and to shift to family narrative. The version owned by WooSan is very special one to go to extrems in the 3rd group. The quantity is enlarged greatly, 6.5 times 1st group, 3~4 times 2nd or 3rd groups. The version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it develop new theme to accomplish wealth(富) and nobleness(貴) at the same times, hence it imagine in what process for woman`s desire and its fulfillment to be able to realize. Also It has the characteristics formally that it combine facts and fiction imaginatively; it`s story is telling in the context of a distinguished family at the time from King Sukjong to King Jeonjo, on the other hand it was created in the first time of Japanes colonialism, so reflected that time`s cultural atmosphere. Such splits are sewing through Woosan-version`s special imagination of combination with facts and fic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