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78.240
3.145.178.240
close menu
KCI 등재
다문화 사회와 국어교육 -다문화 가정 자녀의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Multicultural Societ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윤희원 ( Hi Won Yoon )
UCI I410-ECN-0102-2012-570-000270746

다문화 가정은 국제결혼 가정, 외국인 근로자 가정, 새터민 가정 등을 말하는데 이들 가정은 사회 부적응, 한국어에 대한 숙달도 부족, 한국 문화와 자국 문화의 격차 등에서 비롯된 가정 문제, 학교 문제, 사회 문제를 안고 있다. 외국인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은 아동의 한국어 능력이나 문화, 정체성 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한국어 및 한국 문화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외국인 부모의 자국 문화에 대한 이해,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 가정에 대한 편견 및 문화 이질성 극복을 위한 교육이 요구된다. 국제결혼 가정 자녀는 한국어 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학습 부진, 정체성의 혼란, 집단 따돌림 등의 건강하지 못한 정서적 충격을 경험하고 있으며 학교 생활에도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어 사용 실태를 통해 분석해 보면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능력은 기초 지식이나 상식이 결핍되어 있고 논리적 사고 및 추상적 사고능력이 부족하다. 그리고 감각적 표현이나 직관적 판단이 한국인의 보편적인 판단과 다르기 때문에 학업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큰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다문화 교육의 현실을 고려할 때 (한)국어 교육의 계획과 실천을 위하여 먼저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요구(needs)와 욕구(wants)를 조사하고, (한)국어 교육에 관한 최소한의 심의·검정 제도를 마련하여 운영해야 하며, `봉사`와 `전문적인` 교육을 구별하여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자격을 갖춘 인재를 길러야 한다. 또한 다문화 사회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실적인 요구에 대처하기 위하여 (한)국어의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반영한 교수법을 개발하고, (한)국어 교육의 대상을 외국인에 한정하지 말고 다문화 가정에까지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연구를 위한 연구자의 양성과 현장 교사의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전문적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적 배경을 염두에 두고 교육계와 학계, 사회 각층이 함께 부단한 노력을 통해 (한)국어 교육의 문제의 해결에 힘써야 할 것이다.

Multicultural families include intermarriage families, foreign workers` families and "sae tomin(North Koreans living in South Korea)". They have home problems, educational problems and social problems arising from social maladjustment, Korean language competence issu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culture and their native culture. Foreign mothers` Korean language competence effects their children`s Korean language competences, cultrural achievements, and identities. Therefore, we should understand foreign parents` native culture and also need to be intereste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s well as needing teach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urthermore, we should overcome stereotypes and better understand cultural diversity in multicultural families. Due to their low Korean language competence, children of intermarriage families suffer from poor progress in their studies, identity confusion, and bully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use,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ve a dearth of basic knowledge and common sense as well as not being able to think logically or critically when they study. Moreover, they have some trouble in academic achievement because they cannot express and judge in different ways from general Korean people. For the plan and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must first survey `needs` and `wa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we must create deliberation and authorization systems. Last we need to cultivate people of talent who qualify themselves for specialities that differ from volunteer activities. To meet these needs, teaching methods need to be developed after due consideration of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from foreign students to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researcher and teacher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to develop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Within the framework of what it means to be: "Korea", people of all social strata, including those in education and research fields should continue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