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112.111
18.219.112.111
close menu
KCI 등재
사회문화적 의사소통과 국어교육 ; 방언과 현대문학교육
Dialect and Education of Modern Literature
김혜영 ( Hye Young Kim )
국어교육학연구 35권 87-123(37pages)
UCI I410-ECN-0102-2012-350-000159644

이 연구는 방언이 가진 생활, 문화, 제도적 특성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에서 방언의 위상과 역할을 점검하고 방언이 문학교육의 내용으로서 자리 잡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논의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지역 방언으로, 지역 방언이 특정 장소의 역사와 삶의 맥락 속에 존재하면서, 사회문화적 소통을 지향하는 언어라는 점은 문학텍스트에 나타난 지역 방언의 위상을 점검하고 그 교육적 방향을 성찰하는 일이 문학교육에서도 중요한 문제임을 시사한다. 먼저 최근의 방언 연구의 경향을 통해, 방언과 표준어의 이분법이 어떻게 시작 되었고, 그것을 유지하는데 작용하고 있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의 문제, 곧 표준어가 근대 국가의 성립과 함께 구축된 가치중립적 시스템의 일부라는 점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문학연구 및 <문학>교과서에서의 방언 수용 양상을 점검하였다. 문학연구에서는 주로 방언 활용의 효과에 주목하여 있었는데, 방언의 효과로는 리얼리티, 토속성, 공감대 혹은 민족의식의 형성, 운율이나 이미지 효과 등이 논의되었다. 각각의 문학텍스트마다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가 다르고, 그 형식이나 표현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문학텍스트에 방언이 활용되었을 때 얻게 되는 효과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는 이유로는 방언을 소리의 재현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고 보았다. 방언은 특정 지역 안에서 성장한 주체를 문화적 주체로서 자리매김할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지역의 문화-지역 공동체의 담화 관습, 사회적 규범, 이데올로기 등-로 안내하기 때문에 방언은 소리 차원에서 사회문화적 맥락의 차원으로 확장되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차원에서 문학교육의 목표를 구현하는 데 있어 방언이 작용하는 양상을 개인과 공동체의 발견, 사물과 세계에 대한 교감 능력의 회복, 이데올로기 비판, 대상에 대한 지향성 등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문학교육이 문화교육이라는 이념을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방언이 주체-문학-문화를 연결하는 키워드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문학교육을 문화교육으로 자리매김하는 계기로서 방언이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tatus and functions of dialect in modern literature and to look for a possibility that dialect can be adapted to education of literature based on living, cultural and systematic characteristics. First through the current trend of dialect research, we have investigated how the dichotomy to divide dialect and standard language has started and which mechanism contributes to maintaining it, and from the result of that investigation, we checked how dialect has been adapted in the research on literature and its text book up to now. In the research on literature, generally effectiveness of dialect adaptation, one of which is the pursuit of realism, locality, empathy or inspiration of nationalism, rhythm and imagery effect, etc. Although each text of literature has different theme to convey and different style and expression, the result when dialect is applied to literature texts is almost the same for the reason that it reflects the viewpoint that dialect is regarded as manifestation of sound. Finally studying the aspect of how dialect functions in materialization of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such as discovery of individuals and community, recovery of capability to communicate with things and the world, analysis of ideology, target orientation, etc, we also suggested the direction to practice the ideology of literature education. We believe that this process will enable dialects, as a key word to connect subject to literature to culture, become a vehicle in order that literature education settle down as a part of cultural edu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