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82.79
13.58.82.79
close menu
KCI 등재
사회문화적 의사소통과 국어교육 ; 고전문학의 사회,문화적 소통과 방언의 행방
The Socio-cultural Communic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Trace of Dialect
류수열 ( Su Yeol Ryu )
국어교육학연구 35권 125-154(30pages)
UCI I410-ECN-0102-2012-340-000139593

이 글은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 시조와 가사를 중심으로 하여 고전문학이 사회·문화적으로 소통되는 과정에서 방언이 개입되거나 제거되는 내력을 추리하는 데 목적을 둔다. 판소리 사설은 사회·문화적 소통 과정을 통해 계급 방언이 중화되는 과정을 겪는다. 사설에 이질적인 두 계층의 언어가 상보적으로 배치된 것은 인물의 계급적 표지가 필요해서가 아니었다. 그것은 두 계층의 언어가 각각의 구역 내에서 제한적으로 소통되지 않고 초계층적으로 소통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판소리 사설이 판소리계 소설, 특히 경판본으로 정착되면서 지역 방언과 계급 방언은 중앙어화·상층화의 길을 걷는다. 이는 표준화를 지향하는 문자 문화의 자장에 강력하게 흡인된 결과이다. 중앙문화의 산물인 가집에 수록되면서 상층의 언어문화로 정제된 시조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가시는 하층으로 항유층이 확산되면서 새로운 계급 방언이 생성되는 사례이다. 사대부의 충신연주 가사와 서민층의 연정·상사 가사를 대조해 보면 연모/원망이라는 정서적 지향의 대비점을 발견하게 된다. 연모의 언어가 상층의 계급 방언이라면 원망의 언어는 하층의 계급 방언이라 할 것이다. 이처럼 고전문학에서 방언은 장르별로 상이한 동선을 그리고 있다. 지역 방언은 지역 방언대로, 계급 방언은 계급 방언대로, 활성화되었다가 사라지기도 하고, 상층 계급의 언어로 변이되기도 하며, 분화의 길을 걷기도 한다. 그 각각의 길이 각 장르가 그려나갔던 사회·문화적 소통의 동선과 일치한다는 점을 결론 삼아 제시할 수 있겠다.

This paper aims to infer the trace or history of that dialect intervene in and disappear out of Korean classical works, especially Pansori, Pansori-based novel, Sijo and Gasa in the process of its socio-cultural communication. The Pansori diction was neutralized in the process of socio-cultural communication. The reason that the different kinds of class dialect was used in a text is not to represent the character`s class. The different kinds of class dialect could be used beyond the gap of class. The region dialect and class dialect in Pansori diction had become central language or upper class language when it had set into Seoul print version. That stemmed from strong sucking force of written culture orienting standardization. Sijo as a repertory of upper class culture also shared same progress with Pansori-based novel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by letter in the anthology, the product of central culture. We can confirm that new class dialect derives with the dissemination of enjoyment stratum in Gasa. For example, there is the emotion of sentimental attachment in the Gasa works of upper class, and the emotion of resentment in those of low class. The other words, the language of sentimental attachment is the dialect of upper class, and that of resentment is the dialect of low class. As we looked around, the moving line of dialect in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as different by historical genre. The region dialect and class dialect appeared, was vitalized and disappeared. There is the case that the low class dialect varied into upper class dialect, the case that upper class dialect differentiated into low class dialect. In conclusion, the moving way of dialect in the classic literature is coincide with the moving line of socio-cultural communication of each historical gen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