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60.154
18.119.160.154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어 원어민과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들 간의 일어나는 의사소통 실패를 예방하는 데 있어 화용 교육의 역할
The role of pragmatic education in avoiding miscommunication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Russian Learners of Korean
모졸따지아나 ( Tatiana Mozol )
국어교육학연구 35권 213-240(28pages)
UCI I410-ECN-0102-2012-410-000130399

한국어 학습에 있어서 상이한 문화권에 속한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인 원어민 화자 간에 일어나는 의사소통 실패 현상을 줄일 수 있는 교육 방안은 아직까지도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이는 러시아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학습 자료들을 통해서도 확인될 수 있다. 그러나 교재 개발자나 교사들은 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직접적인 자료를 구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러시아인 학습자를 돕기 위해서는 러시아 문화와 러시아어의 영향 관계에 기반을 둔 비교문화적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들과 한국어 원어민 화자 간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 실패의 양상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우선 Hall(1976)에서 제시한 고맥락과 저맥락, 또한 Hofstede(1980)에서 제기한 문화차원 기준에 따라 러시아 문화와 한국문화를 비교해보았다. 러시아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러시아인이 한국어 원어민 화자와의 상호작용과정에서 러시아인 학습자들이 가장 자주 겪는 러시아인과 한국인의 문화적인 차이와 상이한 의사소통 방식에 따른 의사소통 실패와 장애의 양상과 유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의사소통 실패를 예방하기 위하여 한국 문화와 의사소통 방식의 특징을 한국어 학습 자료에 반영할 것을 제안한다.

No systematic studies so far have examined the way how Korean native speakers and Russi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can reduce the extent of communication problems arising as a result of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ince Korean teachers, as well as Korean textbook authors, are encountering great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preparation of their teaching materials, the need for preliminary cross-cultural education that would highlight the influence of the Russian cultural and linguistic background on the proces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is eminent.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Russian learners of Korean and Korean native speakers from the cross-cultural point of view. I compare the Russian and Korean cultures based on the low and high context communication criteria suggested by Hall(1976), and on four main cultural dimensions proposed by Hofstede(1980).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