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7.0.192
18.227.0.192
close menu
KCI 등재
한문과(漢文科) "끊어 읽기" 수업(授業) 사례(事例) 연구(硏究)
A Case Study on "Reading by Punctuating" in Sino-Korean Class
이명희 ( Myeong Hee Lee )
한문교육논집 32권 219-270(52pages)
UCI I410-ECN-0102-2012-560-000170223

끊어 읽기는 전통 한문 학습에서부터 현재까지 한문 문장을 바르게 풀이하고 이해하기 위해 활용하는 방법이다. 연구자는 실제 중·고등학교 한문과 수업에서 끊어 읽기의 구체적 실행 과정과 인식이 어떠한가를 밝힘으로써 한문과에서의 끊어 읽기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중학교 한문 교사 1명과 고등학교 한문 교사 1명의 수업 관찰과 심층 면담 자료, 기타 문서 자료 등을 수집하여 총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 분석법에 의해 분석하였고, 이 과정에서 자료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삼각측정법, 연구 참여자에 의한 연구 결과의 평가, 전문가에 의한 조언과 지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한문과 끊어 읽기의 구체적 실행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교사와 학생의 끊어 읽기에 관한 인식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었다. 두 교사의 한문 문장 수업에서 끊어 읽기의 구체적 실행 과정은 문장 제시에서부터 시작되는데, 문장에 현토나 문장 부호 등을 표기해 이를 문장 해석에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고 있었다. 이후 실제 문장 해석 과정에서는 문장을 의미 단위에 맞게 끊어 읽는 활동을 반복하였다. 수신호, `+` 표시, 현토, 억양 조절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문장을 의미 단위로 끊어 읽을 수 있게 하고, 이를 문장 구조 파악 및 해석에 활용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평가 과정에서도 문항에 현토와 문장 부호 등을 표기하여 학습자의 문장 독해 및 문제 풀이를 도와주고 있었다. 끊어 읽기에 관하여 교사는 학습자의 한문 해석을 유연하게 하기 위한 필수 과정으로, 학생은 자신에게 주어진 한문 문장의 해석을 돕는 유용한 방법으로 인식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 끊어 읽기를 한문 해석에 실질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 중·고등학교 한문 수업에서의 끊어 읽기의 구체적 실행 과정과 끊어 읽기에 관한 인식을 제시하여 학습자의 한문 독해 능력 향상 및 한문 문장 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추후 시행될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실행 방안 논의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Reading by punctuating in a sentence is a method that has been used from past till present in the Sino-Korean learning method to interpret and understand Sino-Korean sentences properly. This researcher aims to understand punctuating in the Sino-Korean class subject more profoundly by examining its concrete process and the recognition on it in the Sino-Korean class of present middle and high schools.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observed lessons conducted by one middie school and one high school Sino-Korean teacher and analyzed data collated from in-depth interviews and related literatures holistical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and in this process, in order to secure the credibility of the data, triangulation, the evaluation of the study result by the research participant,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intellectual methods were used. Through this, it figured out the concrete process of implementing punctuating in a sentence in the Sino-Korean class subject and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on it. The Sino-Korean class of the two teachers began by presenting sentences in the concrete process of implementing punctuating in a sentence. It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use added postpositional words or punctuation marks written along with the sentences. Later, in the actual process of interpreting sentences, students repeated the activities of reading sentences in meaningful units. With hand signals, `+` marks, added postpositional words, or intonation adjustment, the teachers induced their students to read sentences in meaningful units on their own and to use it when they tried to understand sentence structures or interpret sentences. In the evaluation process as well, the teachers presented added postpositional words or punctuation marks for each question so that it could help students read sentences and answer questions. The teachers regarded punctuating in a sentence as an essential process for learners to interpret Sino-Korean sentences flexibly while students recognized it as a useful method which supported them to interpret sentences given to them; therefore, it was shown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used punctuating in a sentence substantially when interpreting Sino-Korean sentence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the concrete process of implementing punctuating in a sentence in the actual middle and high schools Sino-Korean class and the recognition on it, provides practical data for improving learners` ability to read Sino-Korean sentences and activating the class for Sino-Korean sentences, and presents foundational data for discussing the methods to carry out the revised Sino-Korean subject curriculum to be executed later 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