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34.158
3.138.34.158
close menu
KCI 등재
비인 모더니즘의 미학적 지각
Gastvortrage : Die asthetische Wahrnehmung der Wiener Moderne
한루이시앙 ( Rui Xiang Han )
UCI I410-ECN-0102-2012-320-000235516

오스트리아 비인 모더니즘은 베를린 자연주의와의 논쟁에서 생긴다. 비인 모더니즘은 외부에서 내부로, 객관성에서 주관성으로의 문학적인 묘사 변화를 수행한다. 그러면서 자아, 영혼, 꿈을 문제시 삼는 새로운 예술양식이 형성되며, `모던`이라는 개념은 당대의 화두가 된다. 헤르만 바의 논문 「모더니즘」(1890)은 새로운 프로그램을 예고하면서 비인 모더니즘을 감수성 이론 내에서 규정짓는 데 일조한다. 이념사적으로 볼 때, 비인 모더니즘의 전통을 뛰어넘는 미학적 의식은 자아를 인식하기 위해 새로운 길을 열었던 마흐의 감수성 철학 및 프로이트의 정신분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마흐의 감수성 분석과 자아에 대한 그의 인식은 자연주의를 극복하는 비인 모더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필연적인 미적 토대이다. 프로이트는 언어로 변신한 꿈을 영혼을 규정하는 수단으로 해석한다. 그의 꿈의 언어도 비인 모더니즘의 본질적인 특징이다. 슈니츨러와 호프만스탈은 비인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작가들이다. 그들의 작품은 예를 들면 자아, 영혼, 꿈에 대한 비인식 관점을 묘사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그들만의 특수한 미적 의식을 보여준다. 이처럼 비인 모더니즘의 새로운 미학적 의식과 현대성이 더 이상 전수된 이념상에서가 아니라 참을 수 없는 감수성에서 보여진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런 의미에서 비인 모더니즘은 당대의 경험이자 동시에 당대에 대한 반응이다. 그 위기의 상황에서 비인 모더니즘은 자연주의에 길항하면서 문학적 묘사의 관점 변화를 수행한다. 그때 더 이상 외부의 현실이 아니라 자아, 영혼, 꿈이 미학적 관찰의 중심이 되는 것이다. 비인 모더니즘은 위기에 처한 현실을 필연적으로 경험한 것이며, 동시에 그 위에 바탕을 둔 필연적인 반응이다. 자아, 영혼, 꿈은 당대와 그 시절의 인간들을 인식하기 위한 대상이자 수단이며, 그럼으로써 비인 모더니즘의 미학적인 현대성을 특징짓는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