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112.1
13.58.112.1
close menu
KCI 등재
천학의 지평과 지향
The Area and Directivity of the Learning of Heaven
김선희 ( Seon Hee Kim )
UCI I410-ECN-0102-2012-150-000910216

이 논문은 예수회원들이 전한 중세 기독교 이론이 유학, 신유학과 대응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내적 긴장을 중세 기독교적 세계관의 유교적 변용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예수회원들은 유학과 신유학에 대해 승인과 배제라는 이중적 전략을 사용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중국의 정통적이고 전통적인 체계 사이에 자신들의 위상을 세우고자 했기 때문에 유학-신유학과의 대면에 따른 유교적 변용은 필연적이었다. 중국과 조선의 지식인들 가운데 서광계, 이지조, 양정균 같은 인물은 스콜라 철학과 신학의 유교적 변용을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새로운 지적 경향을 선도해 나갔다. 이들은 보다 보편적인 `천학(天學)`의 차원에서 유학과 기독교를 조화시키고자 했다. 천학은 보편적 학문으로서의 유학에 대한 신념에서 출발하는 것이며, 시대의 혼란을 해결하기 위한 미래적 지향이었다. 이들은 예수회원들의 유교적 변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과정에서 유신론적 관점에서 유학을 재조명하고 그로부터 철학적 신앙에 가까운 사상적 경향을 드러냈다. 그들은 천학으로 선언된 보편 학문으로서의 유학의 위상 안에 새로운 유신론적 경향을 도입하고자 한다. 그들은 상제-천주를 통해 내적 성찰과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유교적 세계관을 더욱 강화하여 시대의 교착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과학 기술 등 새로운 지적 경향까지 흡수하여 두 세계를 보편 학문으로서의 천학 안에 연결짓고자 했다. 유학을 유신론적으로 조명해서 유학의 지평을 넓히고 인간의 도덕적 지향을 분명히 하려는 시도는 조선의 정약용에게도 나타난다. 정약용은 서학의 영향을 받아 인격적 상제의 존재와 그에 대한 유학자로서의 신앙을 독자적인 체계로 재구성했다. 이는 전통적인 천주교 신앙과 다른 것이었으며, 따라서 이를 보편학에 대한 신념에서 도출된 유교적 유신론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nature of the internal tension created when the Chinese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faced with the theoretical core of the Catholicism, the Confucianistic transformation of medieval Christianity in the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 response of the East-Asia. This dissertation names this process a `Confucianistic transformation of medieval Christianity`. Alothough Jesuit members used a duplicable strategy which was acceptance and exclusion the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actually, since they wanted to fix their field among the traditional system of china, the confucianistic transformation was necessary. Among the Chinese and the Chosun literati such several personages as Hsu Kuang-ch`i(徐光啓), Li Chih-tsao(李之藻), Yang T`ing-yun(楊廷筠) led the new intellectual trend with proactive acceptance the Confucianistic transformation of Scholastic philosophy and theology. They tried the Confucianism to be blended with the Christianity in more universal level and their such intention was possible through `Chun-Hak(the Learning of Heaven)`. It was arisen from the conviction to the Confucianism as an universal knowledg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considered as a kind of new future-oriented intellectual movement. They understood Confucianism in the view of theism and revealed a tendency of thought which was almost like a philosophical faith while they were coping with the Confucianistic transformation conducted by the Jesuit. They tried to introduce a new tendency of theism in the status of Confucianism which was regarded an universal theory called `Chun-Hak`. Through God, they tried to solve the standstill of the era reinforcing the Confucianistic aspect which aimed to introspect and be responsible in their society. Also, accepting the new intellectual tendency like a new scientific technique, they made a bridge between the two aspect, Christianity and Confucianism, in the realm of `Chun-Hak` which was thought as an universal theory. Jung Yak Yong also tried to expand the field of Confucianism and manifest an moral intention of human by understading Confucianism in the view of theism. He reconstructed the existence of God with personality and the faith to the God of a Confucianist in his unique view. This wa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Roman Catholicism and therefore his theory could be regarded as the Confucianistic theism derived from the faith to the eclectic universal theor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