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8.107.238
3.238.107.238
close menu
KCI 후보
17세기 산문발달의 원인과 추이 연구
A study on the cause and transition of prose` development in 17th century
안영길 ( Yeong Gil Ahn )
한문고전연구 18권 59-79(21pages)
UCI I410-ECN-0102-2012-720-000989599

17세기는 산문 문학이 부각되었다. 즉, 전대와 달리 시문학이 약화되고 반면에 산문이 중심 장르로 등장한 것을 뜻한다. 이것은 단순한 장르의 변화가 아니라 사람들의 지배적인 의식구조의 변화를 가리키며 향후 18세기의 소품문학과 다양한 글쓰기의 토대가 되었다. 그렇다면 시에서 산문으로 중심축이 변화되는 動因은 무엇인가를 규명하여 정리했다. 먼저 기온의 강하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가 전염병과 식량부족을 일으켰다. 따라서 이에 대응한 농경서적과 같은 실용서 발간이 일반화되었다. 다음으로 45년간 4차례의 전쟁을 치루면서 실기문이 발달되었다는 점이다. 전란의 체험을 각양의 산문형식으로 표출하여 그 참상을 징언하고 재발을 막고자 하였다. 또 비지문에 대한 전범을 세우고자 당대의 대표적인 문인이었던 김창협이 나름대로의 작법론을 제시했다는 것은 산문쓰기가 활발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한편으로 임란 이후 가문을 중흥시키려는 노력과 관료 진출을 꾀하는 문인들의 팽창 등은 산문의 양적 증대를 가져왔다. 또 조선 전기의 평화롭던 상황과 달라진 시대상 역시 한시의 형태만으로 당대의 표현 형태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그리하여 산문의 부상은 필연적이었으며 양적 팽창에 따른 난삽하고 질적 저하를 막기 위해 나름대로 중국의 古文을 끌어 당대의 산문에 귀감으로 삼고자 했다. 그리고 이런 과정에서 明末 淸初 문단을 참조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산문 창작에 질적 변화를 촉구하게 되었다. 즉, 의고파의 수용이 계기가 되어 조선에서 산문 비평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17세기 산문의 양적 증가에 따른 변화는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먼저 부정적인 시각에서는 문장의 질적 하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다량의 산문이 산출됨으로써 그 중에는 수준 미만의 작품도 존재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긍정적인 시각에서 다양한 글쓰기의 시도는 개성의 역동적인 표출로 산문의 발전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산문의 지향성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장편화이다. 전대와 달리 개인의 문제에서 가정이나 사회문제로 대상의 범위가 확산되었다. 특정한 시간대가 아니라 일생을 다루거나 좀 더 복잡한 인간관계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장편화는 필연적이었다. 다음으로 전범화를 추구했다. 명말 청초 문단에 대한 참조는 산문쓰기에 새로운 인식을 갖게 했다. 즉 先秦兩漢의 古文을 표준적으로 설정하거나 唐宋의 古文 역시 전범으로 채택되었다. 그리하여 전반적으로 산문 쓰기의 질적 향상을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실용화를 지향했다. 임란 이후 전란의 체험에 따른 실기문이 발달하였고, 열악한 농경을 극복하기 위한 농경서 발간이 일반화되었고, 실생활에 쓰는 비지문에 대한 논의가 활발했다. 즉 이처럼 실생활과 직결된 글쓰기를 주도했다. 이것은 조선 전기와 다른 글쓰기 형태의 변화를 의미하며 산문에 대한 인식도 많이 달라진 것을 뜻한다. 즉 17세기에는 변화를 추구하는 사회에서 문인들의 인식도 달라졌고, 문학적 성향도 바뀌어 기존의 산문과 다른 형태의 글쓰기를 가져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transition of prose` development in the 17th century. The first cause was the change of environment. From the end of 15th century to the middle of 18th century was the iced age. Expecially Chosun dynasty from 16th century to 17th century had a many disaster such as drought, cold-weather damage. On the whole the temperature was droped about 1. Because of this point the practice books was punished. The second cause was a frequent wars. The period(1592-1637) occurred fourth wars. The tragedy of war made men to write documentary letters. The peoples began to write documentary letters as their experiences. Considering the facts the prose was showed up more than the poems. The increase of prose in the 17th century has two means. the one in the negative view the prose is low level, the other in the positive view is diversity. To improve low level of the prose a man of letters indicated a standard sentence. A standard sentence was based on Han dynasty and Dang dynasty or Song dynasty in the ancient china. At that time many man of letters regarded a great book tried to write something. Also the multifarious prose contain a variety of express. On the while the transition of prose had three characters. The first it was to write a long work. In the past a short story was changed a long work. The home problems or social problems was showed up more than private` matter. The second it was to write a standard letter. For the sake the point most literary men made reference to the trend of literary thoughts in the end of Myeong dynasty and the early Cheong dynasty. The third it was to write practical letters such as agriculture books, an epitaph.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