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31.240
3.141.31.240
close menu
KCI 후보
추재(秋齋) 조수삼(趙秀三)의 「고려궁사(高麗宮詞)」 소고(小考)
An Essay on of Chujae Cho, Su-sam
김영죽 ( Young Jook Kim )
한문고전연구 18권 113-150(38pages)
UCI I410-ECN-0102-2012-720-000906534

본고는 추재 조수삼(1762-1849)의 「高麗宮詞」에 대해 분석 고찰한 것이다. 추재는 承文院 胥吏출신의 中人으로서, 2,700여 수에 달하는 시작품을 창작하며 名實相符 조선 후기의 걸출한 시인이었다. 6차례에 걸친 燕行 경험을 모두 시의 형식으로 기록하고, 紀俗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여 歲時記를 짓거나, 竹枝詞를 창작하는 등에 힘을 기울였다. 「高麗宮詞」 역시 그의 이러한 기속의 特長이 잘 반영된 작품이다. 하지만 「高麗宮詞」는 추재의 작품 가운데에서 매우 독특한 형식과 소재를 취한 것임에도, 기존의 연구가 활발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려궁사」가 저작되기까지의 경위와 작품이 지니고 있는 意味를 본격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高麗宮詞」는 총 22수로 되어있으며, 小識가 첨부되어 있어 그의 창작 경위를 밝히고 있다. 소지에 의하면, 추재는 『靑湖稗史』를 읽고 要領을 얻어 竹枝調를 본떠 작품을 짓는다고 하였다. 『청호패사』는 그 현전여부가 아직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지만, 추재의 「고려궁사」를 통해서 오히려 그 성격을 유추할 수 있는데, 高麗朝와 관련된 逸話나 野史가 아닐까 여겨진다. 「고려궁사」는 宮詞라는 시의 형식으로 인해, 조선조에 창작되었던 宮詞의 전개 양상 속에서 논해야 함은 당연지사이다. 하지만 이보다 앞서, 이를 그의 전체적인 작품 경향의 한 축에서 살펴보아야 그 면모가 입체적으로 드러날 듯하다. 즉 그가 평소에 문학작품을 저작함에 어떠한 태도로 임하였는가, 어떠한 문학적 형식을 선호하였는가, 저작시기에 있어 특기할 만한 사항은 없었는가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추재는 「고려궁사」를 통해 고려조 宮中의 雜事를 다양하게 묘사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고려에 대한 史料가 조선조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한 점을 감안 하였을 때, 추재의 「고려궁사」가 일종의 史料로서의 가치를 내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기존의 宮詞들이 묘사한 내용들이 대체적으로 긍정적 시선을 지니고 궁중의 풍속을 창작했다면, 추재의 宮詞는 화려한 궁중 풍속 이면에 있던 사회적인 문제점-예를 들면 고려조 불교의 폐단, 환관의 실상-들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개성을 지니고 있다 하겠다. 추재는 「奇異」나 「上元竹枝詞」, 「歲時記」 등 當代의 풍속세태를 素材로 하여 그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문화사적 資料를 남겼다. 「고려궁사」 역시 그러한 창작 정신의 일환이었을 것이며, 이는 고려조 궁중 풍속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 당시의 사회상을 읽어내는데 더 없이 중요한 자료로 자리매김 한다고 보여진다.

Chujae Cho Susam, an eminent poet in the late Chosun dynasty who went to China six times and wrote his every travel in the form of poem, was very interested in folklore and wrote some poems of times and seasons of the year and also had bamboo-branch poems. `Palace-poem of Koryo` have a distinct style reflecting his dexterity of poems of times and seasons of the year. Nevertheless, this is not noticed yet. `Palace-poem of Koryo` consists of twenty-two poems with a little epilogue. According to the little epilogue, Chujae had read Chungho Paesa (Miscellaneous History of Blue Lake) and written some poems in the form of bamboo-branch poems. The book of Chungho Paesa (Miscellaneous History of Blue Lake) has not yet known to anyone but we could estimate its character by reading `Palace-poem of Koryo`. Chungho Paesa (Miscellaneous History of Blue Lake) would be a kind of unofficial history or historical episodes of Koryo dynasty. `Palace-poem of Koryo` would better be studi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Palace-poem of Chosun dynasty. My way of reading this poems is different from it. I am aiming to lay `Palace-poem of Koryo` on the context of whole works of Chujae, and my method, I wish, leads us to understand its own value. In `Palace-poem of Koryo` were written various things in the palace. Compared to the absolute quantity of historical data of Chosun dynasty, those of Koryo dynasty is scarce, and first of all, true value of `Palace-poem of Koryo` is to give us some historical data. Most of existent Palace-poems before Chujae were created with positive attitude and depicted the bright side of palace affairs, whereas `Palace-poem of Koryo` is dealing with other side of palace such as corruption of Buddhism, real world of eunuch and private life of king. This approach to the materials helped us feel poet`s individuality. His some writings include Records of the weird, Bamboo-branch poems of new year`s fill moon day, and Poems of times and seasons of the year all based on the folklore, and these works inherits us new scene of cultural history. `Palace-poem of Koryo` is on the same line of those works: it would be a significant data to let readers know palace affairs and moreover social lives of Koryo dynas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