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9.14.219
18.189.14.219
close menu
KCI 후보
양기적(養氣的) 측면에서 본 동해(東海) 조종진(趙琮鎭)의 서법이론과 문학론
A study on Donghae(東海) Cho, Jong-jin(趙琮鎭)`s Calligraphy and Literary theory from a viewpoint of "Yang-Gi(養氣)"
최유진 ( Yoo Jin Choi )
한문고전연구 18권 151-178(28pages)
UCI I410-ECN-0102-2012-720-000857401

본고는 동해 조종진의 서예론와 문학론이 氣의 함양에 중점을 두고 전개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동해는 시대가 하강할수록 자연의 원기는 혼탁하게 된다는 사고관에서 발로하여 후천적으로 사회화되는 과정에서 흐려지는 氣를 배양하기 위해 養氣를 강조하고 있다. 우선 문예창작 과정에서 氣는 문학적 원리가 되는 理와 기본축을 이룬다는 대전제 아래, 여타의 창작요소와 조화를 이루어 작품을 통어하는 원천적인 요인이 된다고 보았다. 또한 작가의 심리적 창작기제인 天機의 발현은 인위성과 의식성이 배제된 후에야 神이라는 범주의 가장 이상적인 경지에 도달할 수 있는데, 천기의 발현에도 氣의 역할이 중요함을 역설하였다. 서예론에서 동해는 學古와 養氣를 주요한 요소로써 추구하고 있다. 원기의 손상과 서법의 폐단을 되돌리는 방법으로 古法을 익히고 명산대천의 유람을 통해 창작주체의 내면에 氣를 온축시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는 氣를 涵養하여 서적을 통한 학습이라는 주관적 한계에서 벗어나 高雅한 인사들과 유람하며 체험을 확대하고 心胸을 키워 주체의 내적 역량을 개조하는 것을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 이렇게 함양된 양기는 작품을 총체적으로 通御하는 심미적 기준이 되며, 氣를 중시할수록 작품의 내면적 구조의 完整으로 형상화되는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d the fact that Donghae(東海) Cho Jong-jin(趙琮鎭)`s theory of calligraphy and theory of literature were developed with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gi(氣). Starting from the idea that the original gi(氣) of nature grows muddled over time, he stressed the cultivation of gi(氣) in order to keep gi(氣) from fainting away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First of all, in the process of literary creation, along with ri(理) as a literary principle, gi(氣)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element to rule the work in harmony with other elements of creation. In addition, the work of heaven`s inspiration(天機), which is the writer`s psychological element of creation, can reach the ideal state of Shin(神) only when artificiality and consciousness are excluded, and with regard to thi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gi(氣). In his theory of calligraphy, Donghae(東海) is pursuing the learning of the old and the cultivation of gi(氣) as major elements. As a method of restoring damaged vitality and faulty calligraphic skills, he emphasized the accumulation of gi(氣) in the writer by the learning of old rules, the excursion of noted mountains and rivers. Going beyond the subjective limitation of learning through books, he pursued the refining of inner mind and the restructuring of inner competence through excursing together with noble figures and expanding experiences. Gi(氣) cultivated in this way becomes an aesthetic base for ruling the work, and the more gi(氣) is emphasized the more it is configured into the perfect form of the inner structure of the work.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