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28.88
18.191.228.88
close menu
KCI 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과 계열별 글쓰기 ; 논증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f the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김병구 ( Byeong Goo Kim )
반교어문연구 27권 5-29(25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0831358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지배적인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논증적 글쓰기` 교육이 다양한 실천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설득의 논리`에 기초한 `공적인 글쓰기` 교육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밝히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행해졌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다음의 세 가지 논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서 `논증적 글쓰기`가 새삼스럽게 강조되게 된 이유에 대하여 논하였다. 최근 대학에서 `논증적 글쓰기` 교육이 강조되게 된 맥락은 `비판적 사고`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게 된 맥락과 일정정도 궤를 같이 한다. 이런 맥락의 검토를 통하여 `왜 지금 논증적 글쓰기이어야 하는지` 나아가 대학의 글쓰기 교육에서 `논증적 글쓰기`가 갖는 교육적 가치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비판적 사고`에 기초한 `논증적 글쓰기`를 강조하는 담론이 지닌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비판적 사고`에 기초한 `논증적 글쓰기`의 규범으로 제시된 `문제해결적 글쓰기`가 어떤 이유에서 글쓰기에 대하여 인식적 편향성을 드러내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편향된 인식이 낳는 효과는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셋째, 대학에서의 `논증적 글쓰기` 교육의 다양한 실천 가능성을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논하였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논증적 글쓰기`는 `비판적 사고`를 위한 논술 교육으로 표상될 수는 없다는 전제 하에 `논증적 글쓰기`가 `설득의 논리`에 기초한 `공적 글쓰기`로 정립되기 위해서는 수사학적 실천의 관점에서 `논증적 글쓰기`가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intends to clarify that the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which have a dominant tendancy of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y, needs to be approched by the poitnt of view of `public writing` education that is based on the logic of persuasion. The main point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I intended to make clear why the argumentative writing in the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y anew is stressed. Recently the context that the argumentative writing is stressed the argumentative writing in the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y have the same way of doing the context that stress why the education of `critical thinking` is important.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se contexts, I intend to present why now must be the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and what the argumentative writing`s value in the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y is. Second, I critically argued about a problems that the latest discourse which stress the argumentative writing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critical thinking have. Paticularly I focused problem-solving` writing which is presented a argumentative writing`s standard, so I did confirm the theoretical basis that the education about problem-solving` writing must be united into the frame of writing education. Third, I intended to make clear that there is the similar repeti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writing ability. So the argumentative writing is not represented by writing education for the critical thinking. It is possible that the critical thinking can be united in the frame of writing education, if the rhetoric is imported in the process of public writing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logic of persuas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