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86.56
3.139.86.56
close menu
KCI 등재
고전문학 : <정과정>의 향유 양상과 "접동새"의 문학적 변용
The enjoyment of and a transfiguration of "jeopdongsae(杜鵑 접동새)"
여기현 ( Gy Hyun Yeo )
반교어문연구 27권 89-123(35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0897434

본고는 정서가 지은 <정과정>에는 두 가지 주된 정서가 있음을 전제로 전개되었다. 하나는 `원망`이고, 다른 하나는 `그리움[연군]`이다. 그 두 가지 정서중 작가 정서의 개인적 인격적 성향을 보아서는 원망에 더 무게가 있다고 보았다. 이후 고려 사인들과 조선조 사인들은 이 노래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보였다. 궁중악으로 연행되기도 하였지만, 무엇보다도 그 정서에 공감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처한 정치적 상황에 따라, 혹은 그 노래를 향유하는 시공간에 따라 <정과정>을 향유하는 태도에 차이를 보인다. 궁중 혹은 공식적인 연행장소에서는 `연군`의 정서를 향유하고, 개인적인 연행상황에서는 그 `원망`에 더 깊이 공감함을 볼 수 있었다. 정서는 자신을 `접동새`에 비유하였다. 접동새(자규)는 촉의 망제 고사에서 유래한 전형적 이미지와 의미(想)를 갖게 되었다. 피를 토하며 밤 새 우는 그 원한과 분함과 원망의 이미지와 의미를 지닌 그 전형성을 시인들은 즐겨 사용하였다. 그래서 접동새의 울음소리는 悽然, 悽怨, 悽완 등으로 받아들여졌다. 시간의 흐름은 이러한 접동새의 전형성에서 일탈하게 만들었다. 즉 문학적 변용이 일어난다. 그래서 울음소리는 사랑하는 연인[임]을 그리워하는 애절한 심정을 나타내기도 하고, 동생을 못 잊어 우는 소리가 되기도 한다.

has a two kind of the emotion. It is a resentment and affection. when I watch an author`s personal tendency, there is weight to a resentment to the song more. Since Jungseo died, classical scholars of korea dynasty and chosun dynasty showed a lot of interests to the song. Because it was played to Royal Court music, but the reason is as it sympathized to emotion of a song. Attitude they enjoy it, and to make is different according to space-times of a personal political tendency and performance. They enjoy emotion of affection in official places, they enjoy emotion of resentment in personal situations. Author compared oneself to `jeopdongsae (杜鵑)`. The bird have the typical image and meaning. Its typical character(formular) is a grudge, a wrath and a resentment. So classical scholars listened to a cry of `jeopdongsae` to extreme sadness(悽然), and Poets enjoyed this pattern in their poems. By stream of times, a transfiguration happened at literature. A cry shows in feelings dear, to call a sweetheart. or it shows by sound he cannot forget the young brother, and to s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