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63.58
3.145.163.58
close menu
KCI 등재
고전문학 : 구활자본 소설에 나타난 "가정담론"의 대중미학적 원리
A Study on Popular Aesthetic Principles of "Home Discourse" in Old-type Printed Novel
김현주 ( Hyun Ju Kim )
반교어문연구 27권 247-280(34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0893870

본고는 1910년대 초반에 발간된 구활자본 소설이 대중미학적 원리에 따라 창작되었다는 전제 아래, `가정담론`을 고찰하였다. 1910년대는 가족 로망스의 최고점이라 할 국왕이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았고 혹은 이를 대체할 만한 전 국가적/민족적인 상상적 이미지 즉 집단 기억이 형성되지 못한 시기였다. `가문`중심의 대가족제도에서 `가정` 중심으로 바뀌는 사회적 변동과 공적 가부장제의 정점에 있는 국가/국왕의 상실이라는 두 가지 지점을 토대로 삼은 1910년대 초반 구활자본 소설이 가정담론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필연이었으나, 가족 로망스는 등장하지 못했고 그것을 욕망하는 상태로 표상되고 있을 뿐이다. 또한 이시기 소설에서는 멜로드라마적 서사구조라는 대중미학적 원리를 차용하고 있지만 인물 사이의 갈등만 다룰 뿐 한 개인의 내면에 존재하는 선성과 악성을 갈등요인으로 부각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도 동일한 이유에서이다. 1910년대 초반 구활자본 소설에서 국가/민족의 텅 빈 자리에 사회적 집단기억과 같은 역할을 하며 경험적 감각을 통일하는 공통적인 중심 원리로 모색한 것이, `지금-여기`의 원리나 미래의 원리가 아니라 과거의 원리, 즉 효와 정절이라는 전통윤리이다. 국가 상실이라는 패배와 상실의 감정과 자기희생을 통해서라도 무엇인가를 지키고자 하는 감정 상태가 가(家)의 아버지나 남편으로 향하는 감정 상태로 쉽게 전이된 것이다. 따라서 1910년대 초반 구활자본 소설에서 여성이 주인공이고, 남성이나 아버지의 역할이 극히 부차적인 것이다. 또한 가치 기준의 혼란이나 부재에 대한 대중서사의 저항성이 통속적인 선악의 구도를 반복 재생하는 것처럼, 그 혼란 상황을 효와 정절이라는 전통 윤리의 소환으로 봉합하고 있다.

This thesis studied `home discourse` from a premise that Old-type Printed Novel published in early 1910 was created in accordance with Popular aesthetic principles. In 1910` was age that a king who called the highest point for family romance didn`t exist officially or whole national/ethnical image, in other words, Collective Memory, which can be possible to alternate to this didn`t form. It was necessity that Old-type Printed Novel was interested in home discourse in early 1910` when based on two points both social changes that was changing from a large family system focused on `Family Crest` to on `Home` and loss of a King/a Nation, but Family romance couldn`t be appeared and just be representation as a state that desired it. Also, in that time, it is the same reason why it had popular aesthetic principles that is Melodramatic narrative structure, but only treats a conflict between characters, not bring into relief goodness and viciousness as the factor of conflict. In early 1910`, it is not the principles of `now-here` or future, but the principles of the past, in other words, traditional ethic as filial piety and fidelity that searched common central dogma to unity empirical sense with playing a role like social collective memory in the empty place of a nation/ ethnic in Old-type printed novel. That emotional state which is defeat and the loss as the loss of a nation and keeps something even if it is sacrifice was transformed easily to emotional state which inclines toward a father or a husband in Family Crest. Therefore, in early 1910`, woman was a hero, the role of man or a father was secondary in Old-type printed novel. Also, as resistance of popular epic against confusion of a standard of value and absence repeats and revives conventional structure between good and evil, it is stitching up confused situation to call traditional epic as filial piety and fidel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