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214.215
18.224.214.215
close menu
KCI 등재
기획주제: 여성과 법,제도 : 조선시대의 여성폭력과 법 -경상도 지역의 <검안(檢案)>을 중심으로-
The Violence against Women and Law in Joseon Period -Focus on the area of Gyeongsang-do about -
백옥경 ( Ok Kyoung Baek )
UCI I410-ECN-0102-2012-810-000893999

<檢案>은 檢屍文案의 줄임말로, 조선시대의 시신검사 소견서이다. <검안>에는 가정과 사회 안에서 이루어진 개인 간의 폭력, 집단이 개인에 행한 폭력 등이 매우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었다. 본고에서는 <검안>을 통해 조선시대 여성들이 가정이나 사회 속에서 어떻게 폭력에 노출되어 있었는가, 법이나 사회적인 제도는 여성을 얼마나 보호해줄 수 있었던 것인가, 여성들은 이러한 폭력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였는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조선시대의 법률은 三綱五倫 중시의 유교적 이념을 반영하면서 가족 윤리 침해행위, 사회 신분질서 침해행위를 중대 범죄로 간주하였다. 이에 따라 개인의 가족과 친족 내부에서의 등급, 사회적 신분질서 안에서의 등급, 국가적 조직 체계 안에서의 등급에 따라 범죄인에 대한 刑量을 크게 달리하고 있었다. 이것이 가정 내 처와 남편의 관계에 적용되면, 남편에 의한 처의 통제를 옹호하고 夫妻간의 위계질서를 夫 중심으로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가정 내의 남성은 여성에 대해 신체적으로 통제하고 지배할 수 있었으며, 그것은 곧 여성에 대한 폭력의 일상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음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여성은 남성에게 폭력을 가할 수도 없었다. 가해지는 폭력에 대해 적극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장치도 거의 없었다. 이 때문에 가정 내에서 여성들은 배우자 혹은 시집 식구들에 의한 폭력에 쉽게 노출되었다. 그러한 인식과 태도가 지역 사회로까지 확장됨으로써, 여성들은 지역 사회 곧 향촌 내에서도 폭력의 희생자가 되었다. 반면, 여성들의 폭력은 때로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자신의 가족 곧 남편·시부모·자식을 보호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그것은 여성들이 가족과 관련된 폭력 사건에 참여함으로써 오히려 가정 내에서 자신의 위상을 확인하거나 영웅시될 수 있었던 사회적 분위기에 기인한 것이었다. 아니라면 자신에게 가해지는 폭력에 견디다 못해 오히려 자살이라는 극단적 선택을 하고 있다. 이러한 여성들의 태도는 국가와 가정의 통제에 순응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국가의 통제가 관철되어 갔던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word of , is short for an outline of autopsy examination, a kind of report on a corpse examination in Joseon Period. There were some written accidents about personal violence happened at home and in society, the others which group had used to individual, and so on in corp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with how women in Joseon Period had been exposed to violence at home and in society, how the law and the system had protected women from violence and how they had coped with this kind of violence. Joseon`s law was Confucianism which had reflected the three basic relation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between father and son and between husband and wife. It had regarded the activities of violating family`s morality, the activities of violating the social status and social class as serious violence. So, Joseon Dynasty had differed the sentence of criminal according to the label of social status and family, the label of office. If this system had appli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his wife at home, it could had supported that husband controled his wife privately, it had reinforced the hierarchy of couple focus on husband. It means that husband could had controled and could had ruled over his wife at home, could had likely brought about violence to his wife at home. On the opposite side, women could had not committed violence to men. Moreover, they could not had been protected from the violence actively. therefore women at home was exposed to violence from her husband or husband`s family easily. That kind of attitude and recognition had expanded to local community, women had been victims of violence in the local village. On the other hand, violence used by women was sometimes a tool to defend themselves, was mostly happened in most cases that they protected their family which are husband, husband`s parent and their sons and daughters. It resulted from the social atmosphere that women could have been regarded as a hero or identified themselves at their home rather than a criminal, if they had participated in violence related to their family. But if not so, they could have not made a choice to suicide themselves in case of unbearable violence. This kind of attitude show that women adjust themselves to the control of country and their home, and reflect the reality that the country controled women`s lif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