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72.135.210
184.72.135.210
close menu
KCI 등재
기획주제: 여성과 법,제도 : 대하소설의 여성과 법 -종통, 입후를 중심으로-
Women and the Law in Saga Novels
장시광 ( Si Gwang Jang )
UCI I410-ECN-0102-2012-810-000919916

이 글은 대하소설에 보이는 종통과 입후 서사를 당시의 법, 제도과 연관지어 분석하고, 그것을 여성 향유층의 심리 및 현실과 관련지어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씨삼대록>에서는 대종(大宗)이 아닌 자신의 아들을 대종으로 세우려다 실패하는 여성 위씨가 등장하는데 그녀가 지닌 생각 자체는 합법적이었으나 그 수단이 불법이라는 점에서 아니러니하다. 결국 위씨는 병사하고 그 아들은 자결하는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되는데 이는 종통에 저항하는 자에게는 가혹한 징벌만이 가해진다는 서술자의 시각이 개입된 결과이다. <유효공선행록>에는 종장 세우기와 입후 과정이 총 세 번 등장하는데 그 과정 모두 불법적이며 또 그 사이에는 여성이 모두 배제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작품이 남성 사이의 효와 우애에 치우친 나머지 여성이 서사에서 소외되었다. <명주보월빙>에서 종통계열의 남성인물이나 비종통계열의 여성인물 모두 법을 어긴다는 공통점이 보이지만 그 징벌은 종법제를 전복시키려는 비종통계열의 여성인물에게 한정되어 있다. 이를 통해 종법제를 유지하려는 서술자의 강고한 시각을 엿볼 수 있다. <성현공숙렬기>와 <완월회맹연>에서는 종장인 형이 아우의 장자를 입후(立後)하여 종장으로 삼는데 이는 법규에 완전히 어긋하는 행위이며, 다만 친생자가 생겼어도 입후자를 파양하지 않는 것은 혈연보다는 의리를 중시하는 종법제의 취지에 부합하는 행위이다. 이를 보면 두 작품에는 법규도 무시할 수 있는 가장의 절대권과, 한편으로는 종법제를 준수하려는 의식이 습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하소설에서 아우의 장자를 입후하는 서사는 현실 세계의 사실을 어느 정도 반영한 것이고, 서사에서 자식이 있음에도 입후를 한다는 설정은 현실 세계와 맞지 않는 점이다. 이러한 설정은 현실을 반영하면서도 현실의 갈등을 좀 더 예각화하기 위해 마련한 서사적 장치로 해석된다. 대하소설에는 표면적으로는 부계 중심으로 서술되지만 이면을 보면 모계 역시 중시한다는 점이 발견되는데 특히 부정적인 사건일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이는 남성의 잘못을 여성에게 전가하려는 남성 중심적 시각의 발로이다. 또 종법제의 유지를 방해하는 여성인물이 자기 자식과 연합하는 것은 자궁가족의 결합으로서 자궁가족은 긴밀하게 결합되지만 끝내 해체되는 것으로 서술되어 있다. 이는 자궁가족을 용인은 하지만 가부장제를 파괴하는 정도에까지 이르게 할 수는 없다는 시각이 개재된 결과이다.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the epic novel of the first son of the main family following the family and of putting up a foster son as a successor of a family related with a law and a system at that time. Also this thesis aims at considering a metal state of women in a high society and the reality. In Sossisamdaerok(소씨삼대록), Mrs. Wui, who tries to put up her son who is not the lineage of the main family but fails, appears. Her thought is legal but the means is illegal, that is ironical. In Yuhyogongseonhaengrok(유효공선행록), three of putting up a successor of a family and putting up a foster son as a successor of a family appears, the process of whom is all illegal and women are excluded. In Myeongjuboweolbing(명주보월빙), both the men from the main family and the women from the non main family break the law, but only the latter, who tries to overthrow the system of putting up a son from the main family, is punished. In Seonghyeongongsukryeolgi(성현공숙렬기) and Wanweolhoimaengyeon(완월회맹연), the first son puts up his brother`s son as his successor, which is illegal. Even though he has his own son, he should not cut their relationship as a father and a son. That coincides with the purport of the system of putting up a son from the main family that it regards moral sense as more important than blood relation. The epic story of putting a younger brother`s on as a foster son in a saga novel somewhat reflects the real world and the story of putting up a foster son in a family that has a son does not match the real world. In a saga novel, on the surface a story is narrated with a paternal line-centered but on the other side, a maternal line is thought to be important, especially, in the case of a negative case. Also, the women who interrupts the maintenance of the system of putting up a son from the main family combines with their sons, which is described as being disorganized even though a uterine family is combined as a uterine family. This reflects a male-centered point of view and implies the point of view that it cannot be to the extent that women can not break a patriarchal syste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