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9.104.214
3.139.104.214
close menu
사회통합 차원에서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gration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Policy
김명성 ( Myeong Seong Kim )
사회복지실천 8권 5-29(25pages)
UCI I410-ECN-0102-2012-330-000832068

세계화, 개방화로 외국인의 국내정착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국제결혼을 통한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이 본격화 될 것이다. 그러나 사회안전망이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문화가정의 증가는 사회적 취약계층을 생산하고 가족해체를 가속화시켜 사회통합을 저해하므로 결혼이민자의 조기정착과 자립역량강화, 결혼이민자2세의 건강한 성장지원을 위한 적극적인 다문화정책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가정과 다문화정책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의 다문화가족지원정책이 사회통합의 차원에서 갖는 문제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연구결과 한국의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은 적용대상의 협소함, 사회통합의 의미가 동화에 초점이 맞춰진 점, 경쟁적으로 관련 정책들이 추진되고 정책총괄부처의 부재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회통합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의 일관성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족 지원정책의 목적측면, 대상·서비스측면, 사업추진체계측면에서의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As the world`s nations open up to one another and people from diverse cultures join in matrimony,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gin to increase. For the well-being of the 2ndgeneration of these multi-cultural families as well as the successful resettlement and self-sufficiency of the immigrant partner, more policies must be developed in regards to inter-racial marriage because multicultural families become increasingly socially vulnerable often times resulting in broken families as well as a lack in social integration. This paper aims to further investigate the challenges multicultural families face and aims to resolve the problem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in Kore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in Korea is under developed because a governing body in regards to intercultural marriage is absent, while a strong emphasis is placed on assimilation, and there exists a lack in support and resour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policy-making system be developed, services improved, and the purpos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be clarified through further analysi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