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0.160.216
18.220.160.216
close menu
북한이탈 청소년 지원정책 분석 -다문화주의와 동화주의 관점에서-
An Analysis of the Support Policy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김선화 ( Sun Hwa Kim )
사회복지실천 8권 31-56(26pages)
UCI I410-ECN-0102-2012-330-000841605

본 연구는 2000년도 초반부터 증가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중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남한사회 적응을 지원하는 정책을 다문화주의와 동화주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은 2009년 말 약 17,000여 명이 거주하는 정도로 소수집단임에도 불구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이 가지는 의미의 특수성으로 인해 비교적 짧은 정착의 기간 동안 급속도의 정책과 제도의 변화가 있었으나 이러한 변화의 방향성과 이론적인 배경은 잘 파악되지 않고 있다. 같은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60여 년의 분단으로 인해 다양한 차이가 발견되는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해서 이주민의 특성을 가진 존재로 인정하면서 북한이탈 주민(청소년)에 대한 지원 정책의 지향이 무엇인지를 다문화주의적 관점과 동화주의적 관점의 분석 틀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정책의 기본적인 방향성과 초기정착 단계의 지원은 궁극적으로 통일을 지향하면서 남한의 사회문화에 완전히 흡수되는 동화주의에 근간하고 있었다. 그러나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교육지원 정책은 문화적·구조적 차원에서 다문화주의적인 특성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북한이탈 청소년 지원 정책은 기본적 정책의 지향점이 통일에 있으므로 민족 간 동질성에 대한 인정과 통일을 준비하기 위한 남한으로의 적응이라는 전제를 바탕으로 한 동화주의적 근간에 다문화주의적인 특성이 덧붙여진 형태라고 할 수 있다.

From early 2000, the number of resettled North Korean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is paper will analyze the support policy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regards to assimilation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2009, though there exist approximately 17,000 North Koreans resettled in South Korea,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e policy has rapidly changed regarding resettled North Koreans. As a result,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direction for change has yet to be understood by many. Even though North Koreans and South Koreans are of the same ethnic background, because the North and South has been separated for 60 year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re apparent. Now as North Koreans are accepted as new settlers to South Korea, the youth support policy will be further analyzed. The basic policy direction and support of the initial resettling step towards assimilation into South Korean society are the basis for attention. Additionally, through the North Korean refugee youth education and cultural policy support, attributes of multiculturalism were recognized. Therefore, the aim of the North Korean refugee youth support policy can be understood in light of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in preparation for and as fellow Koreans, on the premise of adaptation and assimil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