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8.38.125
18.218.38.125
close menu
KCI 등재
현대문학 : 식민지 조선의 번역/번안의 위치 -1910년대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Position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in Colonial Korea: Focusing on the Copyright Law in the 1910s
권정희 ( Jung Hee Kwon )
반교어문연구 28권 297-320(24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1022919

이 글은 식민지 조선의 번역/번안을 1910년대의 저작권과의 관계에서 분절되는 계기를 탐색하여 그것이 식민지 조선의 문화적 정체성 구성과 연관되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론이다. 1908년 일본의 저작권법이 적용된 식민지 조선에서 저작권법제화가 번역/번안을 재조정하고 관여하는 과정은 도쿠토미 로카(德富蘆花)의 <호토토기스(不如歸)>라는 동일한 원작을 번역과 번안의 두 가지 방식으로 출판한 조중환의 <불여귀> 와 선우일의 <두견성> 의 판권에서 명징하게 포착된다. 번역은 원저자의 허락이 요청되면서 번역자의 위치가 자리매김 되는 데 반해 번안은 원작을 바탕으로 새로운 저작물로 간행되었다. 이러한 법제에서 번역은 원작과 결부되는 데 반해 번안자는 창조적인 저작자의 위치로 변환되었다. 즉, 번역은 창작과 뚜렷하게 변별되는 데 반해 번안은 창작과의 모호한 경계에서 오리지널이 중시되는 특성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제도화와 연관된 양자의 위치의 차이를 확인했다. 종주국 일본에서 번역/번안은 국어(일본어)의 문제와 관계하지만 식민지 조선의 대다수 번안은, 번역과 식민지주의가 서양 원작의 일본어 번안을 재번안하는 프로세스에 중첩되는 양상을 띠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식민지 조선인을 일본제국 안의 식민화된 신민으로서 종속시키는 한편 번역의 오리지널의 문제를 재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식민지 조선에서 1910년대 저작권법의 저작권등록을 하지 않은 `위작(僞作)`으로 부르는 대부분의 번안 작품의 법적지표는 1910년대 식민지 조선의 주체의 형성과도 관계하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division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with respect to the copyright law, which is linked with cultural identity in the 1910s in colonial Korea, In 1908, the Japanese authorities applied the Japanese copyright law to Korean publications. The process interceding and controling the law is exposed clearly in the imprint of two Korean works, Cho Chunghwan`s Bullyogwi and Son Uil`s Dugyonsong, which translated or adapted respectively the same Japanese text, Tokutomi Roka`s Hototogis. While in translation, the translator was required to get permission from the orignal writer, in adaptation the adapter was able to make a recreation based on the original work. Thus, while the translator`s legal position was tied to the original work, the adapter`s legal position was transferred to that of creative author. That is to say, translation was clearly discriminated from creation, but the adaptation came to have a characteristic making much of an original because of a vague border with the creation. Therefore, this article has verified the difference of the position about translation / adaptation, which was linked with institutionalization. In metropole Japan, translation or adaptation of foreign works meant that was referred to the national language (i. e., Japanese). However, in colonial Korea a majority of adapted works tinged the aspect that translation and colonialism were piled up in the process of readapting the Japanese translation regarding the Western original. Through it, Koreans were subordinated as colonized citizens under the Japanese empire, which leaded to recognition over the importance of an original again. As a result, most adapted works called "pseudo-creation" were not registered in the copyright law and this wa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the subject in colonial Korea in the 1910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