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57.186
18.191.157.186
close menu
KCI 등재
예비 교사와 초등 교사의 도덕 토론 수업 사례 분석
A Case Study of In-Service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struction for Moral Dilemma Discussion
김항인 ( Hang In Kim )
倫理硏究 76권 1-32(32pages)
UCI I410-ECN-0102-2012-190-000885885

본 연구는 초등교사와 예비교사의 도덕 토론 수업 사례를 통해 교사의 도덕 토론 수업 운영과 발문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도덕심리학과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도덕 토론 수업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실제 도덕 토론 수업 실시의 어려운 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갈브레이스와 죤스(Galbreith & Jones)가 제시한 콜버그식의 도덕 토론 모형에 대한 소개와 이를 현장교사와 예비 교사의 수업을 통해 현장에 적용한 결과를 통해 교사의 도덕 토론 수업 운영과 발문에 대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로는 현직교사, 예비교사, 초등학교 5학년 두 학급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교사와 예비교사의 도덕 토론 수업이 녹화되었고, 녹화된 내용은 전사된 후, 코딩과 범주화를 거쳐 도덕 딜레마의 특성과 제시 방법, 대안 딜레마 사용, 소집단 발표 방법, 사회자의 역할 등의 9가지 주제들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도덕과 교사의 도덕 토론 수업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service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struction of moral dilemma discussion using a case study method.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importance of moral dilemma discussion based on moral psychology and curr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he difficulties to implement moral dilemma teaching in classroom. Furthermore, the researcher introduced Lawrence Kohlberg`s approach to moral dilemma discussion by Galbreith & Jones. Using his approach, two teachers applied moral discussion to their each classroom. The researcher analyzed the process of moral discussion and teachers` question using qualitative data.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is research.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ere a school teacher, a teacher`s college student, and 70 fifth graders. All processes of teaching were videotaped and transcribed. The data were coded and categorized into 9 issues (characteristics of moral dilemma, use of alternative dilemma, ways of small group discussion, roles of coordinators etc). Finally the ways to develop teachers` questioning for moral discussion were present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