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13.197
3.144.113.197
close menu
KCI 후보
국어 표준 화법의 현황과 개선 방안 ; 경어법이 표준 화법 실태와 개선 방안
On the Norms of Standard Honorification -Evaluation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구현정 ( Hyung Jung Koo )
화법연구 15권 9-36(28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0859850

표준 화법의 내용 가운데 경어법에 관한 부분은 문법적인 요소와 화용적인 요소, 어휘적인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어서 매우 복합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 화법의 경어법 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찾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행 표준 화법의 경어법은 가정에서의 경어법과 직장, 사회에서의 경어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경어법과 공손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현재 규정된 경어법의 용어들은 학교 문법의 용어와도 다르고, 화용적인 공손과도 충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회적 장면에 따라 규범을 지정해야 하는데, 현실적 상황의 변수들을 어떻게 세분화하여 어떤 정도까지 규범화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어떤 세대, 계층, 지역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을 규범으로 삼을 것인가를 결정해야 하는 매우 어려운 과제를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먼저 경어법이 갖는 화용적 특성을 고려하여 범언어적으로 일관성을 갖는 용어를 지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대화 수행의 영역이나 상대방과의 관계, 대화의 장면 들을 고려하여 사회적 장면을 구조화하고, 이에 적절한 공손 표현의 특성들이 기술되어야 하며, 그동안 문제가 되었던 압존법을 현실적으로 수용하는 방안이나 직접 높임과 간접 높임의 표준, 어휘적 경어법의 표준 등이 제시되어야 한다.

Of many aspects of the standard oral communication skills, the norms governing honorification are particularly complex since they involve grammatical, pragmatic and lexical elements. This study aims at surveying the norms of honorificaion as represented in standard communication skills, identifying the problematic areas, and suggesting the means to redress the problems. The current norms of honorification comprise the use of respectful language at home, and at work and in society. In this regard, the norms make reference to such terms as kyengepep `norms governing honorificaion` and kongsonpep `norms governing politeness`, which, however, are not in consonance with the terminology used in school grammar. Furthermore, these notions can cause confusion with the commonly accepted notion of pragmatic politeness. The problems can be even more complicated because the norms should specify the applicable social scenes and, in so doing, the issue of how fine-grained the described social scenes should be is of immediate concern. The complication can be even more intensified since there are other social variables such as generation, social class, geographic region, etc. tha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establishing the standards. It is suggested here that the norms honor the terminology already in use in school grammar, allowing for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rms, and seek consistency in using the terms of universal and cross-linguistic validity, allowing for the socio-pragmatic features of the norm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norms make use of the sets of systematically organized social scenes and situations and accordingly describe the appropriate norms for each described scene. In this context, it is also recommended that the norms review the often-debated honorification strategy by means of the third-party-abasement with reference to a person of relative social superiority, establish the standards for direct honorification and indirect honorification, and specify the standards for lexical means of honorificatio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