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13.30
3.144.113.30
close menu
KCI 등재
한·중·일 근대불교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대응양식 비교 -동아시아 불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비판의 두 흐름-
The Comparison of the responses on Social Evolution between Buddhism in Modern Japan, China and Korea: Two Sides of acceptance and criticism on Social Evolution in East-Asian Buddhism
김제란 ( Je Ran Kim )
시대와 철학 21권 2호 117-166(50pages)
UCI I410-ECN-0102-2012-150-000919375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 불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비판이라는 두 흐름을 한·중·일 각국의 근대불교 사상가들의 사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본 근대불교는 서구 기독교에 상대하여 적극적으로 진화론과 불교를 융합하였다. 이노우에 엔료와 키오자와 만시는 진화론과 불교 교리를 연관시켜 진화론적 불교, 또는 불교적 진화론을 제기하였다. 단지 이노우에 엔료의 불교적 진화론은 진화·퇴화를 모두 수용하는 우주적 진화론으로서, 그를 근거로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의 확립을 위한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키오자와 만시는 사회진화론을 적극 비판하고 정신주의적 불교 진화론을 제기하고, 개인의 자유·자치·평등을 주장한 자유민권 사상과 함께 하였다. 중국근대불교에서 사회진화론을 수용한 대표적인 인물인 양계초는 사회진화론 수용을 서구 제국주의에서 벗어나기 위해 중국이 자립적 국가로서 자유와 주권을 획득하여야 하고 그를 위해 힘을 키워야 한다는 강권론과 연결시켰다. 진화론과 불교의 일치성을 전제로 그 둘을 결합하였고, 진화나 진보를 국가와 개인의 관계로 설명하면서 유식 불교의 종자설을 활용하였다. 이에 반해 장태염은 당시 대세로 받아들여졌던 사회진화론을 불교적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그는 사회진화론을 따르는 이들을 `진화교`라고 비판하고, 유식불교의 아라야식연기에 근거를 둔 `구분진화론`, 선악병진론을 제기하였다. 한국 근대불교의 한용운에게는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비판이라는 두 측면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그는 사회진화론을 현실적 이데올로기로서 긍정하면서 현실 인식과 불교계의 계몽을 위해 활용하는 한편, 양계초식의 강권주의적 사회진화론을 극복하고 불교 본연의 평등주의와 구세주의에서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근대시기 한국·중국·일본의 사회진화론 수용은 일본의 이노우에 엔료→ 중국의 양계초→ 한국의 한용운으로 이어졌고, 사회진화론의 비판과 극복은 일본의 키오자와 만시, 중국의 장태염, 한국의 한용운이 불교의 근원적인 평등성이라는 측면에서 동일한 흐름으로 이어지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wo streams of acceptance and criticism on Social Evolution in East-Asian Buddhism. Buddhism in Modern Japan combined Evolution and Buddhism against Western Christianity. Inoue Enry(井上圓了) and Kiozawa Mansi(淸澤滿之) equally accepted Evolution, but the methods or aims were in striking contrast to each other. Both of them brought up Evolutionary Buddhism, or Buddhistic Evolution in relation to Buddhism. Inoue Enry proposed the universial-Buddhistic Evolution through a compromise between Western Linear Evolution and Eastern Circulating System. On the other hand, Kiozawa completely aceepted Evolution into his Buddhistic Evolution theory. He didn`t lose the Buddhistic sense of values respecting `an individual` than `a Nation`. He criticised Western Evolution and raised `the Mental Evolution`. Representative Buddhist in Modern China was Liang Chi-Zhao(梁啓超). He connected the acceptance of social evolution with authoritarianism to gain freedom and national sovereignty for China. He united Buddhism and Evolution on the assumption that they correspond with each other. Also he made the best use of `the theory of seeds`(種子說) of Only-Consciousness Buddhism to explain the relation of `individual` and `Nation`. On the other hand, Zhang Taiyan (章太炎) criticise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severely from Buddhist standpoint, saying that we should survive in struggle for power. He proposed the theory of dual development going forward with good and evil called `the theory of dual evolution`(俱分進化論). Han Yong-un(韓龍雲) of Buddhism in Modern Korea had two sides of acceptance and criticism on social evolution. He answered in the affirmative for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s the real ideology. On the other hand, he sought the answer in egalitarianism and the idea of mercy of Buddhism. Consequently, the acceptance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in modern Japan, China and Korea camed on in Inoue Enry of Japan and Liang Chi-Zhao of China and Han Yong-un of Korea. The criticism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continued through Kiozawa Mansi of Japan, Zhang Taiyan of China and Han Yong-un of Korea on the bases of the egalitarianism of Buddhis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