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104.109
3.21.104.109
close menu
KCI 등재
차기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개선 방향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the Next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이주섭 ( Ju Seop Lee )
청람어문교육 41권 57-81(25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1869725

이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부분을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차기 교육과정의 내용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의 내용 부분은 교육과정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정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교육과정의 내용 부분 중에서도 두 가지 문제에 초점을 두었다. 먼저, 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장 강조하고 있는 `실제(텍스트의 생산·수용)`의 국어교육적 의미를 짚어 보고자 하였다.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선보인 `실제`의 전경화(前景化, foregrounding)와 실제를 중심으로 한 지식, 기능, 맥락의 연계 내지 통합은 이전의 교육과정과 두드러지게 차별화되는 특징이다. 실제의 의미를 점검하고 차기 교육과정에서 `실제`가 유지·강화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그 다음으로 그동안 많은 논쟁이 있어 왔던 내용 영역의 설정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역 설정에 대한 그동안의 논의를 4영역 체제론자들의 주장과 6영역 체제론자의 주장으로 대별하여 각각의 논점을 살핀 후, 차기 교육과정에서의 영역 설정 방식을 구상하였다. 특히 개정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시도하려 했었던 4영역 체제의 구체적인 모습을 그려보았다. 아울러 개정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문제들을 여섯 가지 측면에서 살피고 그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I meant to look into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in 2007 critically and find the way to improve the next Curriculum. That is because a lot of weight is not only given to the contents of Curriculum in the course of education, but also these contents reveal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new Curriculum. In these contents of Curriculum, I focused on two problems. First, I meant to point out the Korean educational meaning of Practice(the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the text), which is most emphasized in the revised Curriculum. I checked the meaning of Practice and suggested that it should be maintained or intensified in the next Curriculum. Following this, we discussed the problem of setting the area of detail contents which has been a lot controversial so far. I classified the so-far discussion on setting the area into 2 arguments of the advocates for both 4 and 6 areas, then making up the way of setting areas in the next Curriculu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