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221.163
3.137.221.163
close menu
KCI 등재
문학독본과 선(選)의 정치학 -방종현,김형규의 『문학독본(文學讀本)』을 중심으로-
A Literary Reader and Politics of "Sun(選)"
박형준 ( Hyung Jun Park )
국어교육학연구 37권 393-417(25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1868197

이 논문은 방종현·김형규의 『文學讀本』을 중심으로 문학독본의 형식과 `고전`이라는 정전 창출의 과정, 즉 `선(選)`이라는 형식을 통해 `고전`으로 표상되는 문학정전을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방종현·김형규의 『文學讀本』은 문학제도, 문학교육제도 안쪽의 논리에서 벗어나고자 하였으며, 이념의 균형 감각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전후하여 이념적 `균형`은 `균열`로 나아갈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하였고, 편저자는 `선택-배제-(선택)`, 혹은 `선택-배제-대체`의 기제를 스스로 작동시킬 수밖에 없었다. `균형`에서 `균열`로 나아가는 상황에서 이념적 `편중`과 `균질화` 논리에서 벗어나기 위해 편저자가 택한 것은 이념적 잣대에서 어느 정도 자유로운 `고전`의 발견이었다. 이와 같이 방종현·김형규의 『文學讀本』은 국어과 교과용 도서의 역사적 맥락을 보여주며, 제도의 바깥/안에서 한국 문학교육의 근대적 형식을 생산하던 문학독본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또한 `고전`과 `국문학사`를 중심축으로 구성된 제1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교육 담론의 형성 배경을 확인할 수 있는 문화적 렌즈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텍스트라 하겠다. 물론 이 글은 문학교육제도의 안과 바깥을 다채롭게 재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이었을 뿐, 전체 결을 조망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This paper aimed to examine the form of a literary reader and the process of creating a canon, called a classic that is the process of completing a literature canon presented as a classic in the form of `Sun(選)`, which is based on 『Literary Readers』 written by Bang Jong Hyeon and Kim Hyoung Kyu. 『Literary Readers』 tried to get out of the reasoning from literary system and literary education system and to keep a sense of balance in ideology. However, around the establishmen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deological balance was degraded into a crack, and a compiler themselves could not but start a mechanism, `selection-exclusion-(selection)` or `selection-exclusion-replacement`. In this situation, a compiler made an effort to free themselves from the reasoning of the ideological unequal distribution and homogenization. What a compiler chose as a way for it was the discovery of a classic, which is somewhat free from an ideological standard. Likewise, 『Literary Readers』 by Bang Jong Hyeon and Kim Hyoung Kyu includes the multi-level of construction process to show historical contexts of a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it shows a model of literary readers to create the modern form of the Korean literary education. In addition, it is a meaningful text in that it takes on the role of a cultural lens to identify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discussion about literary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first curriculum of the Korean mainly focusing on a classic an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owever, there`s a limit to this paper in that the suggestion of this paper was just one of the methods to put a literary education system in more different ways and it failed to grasp the whole system.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