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6.90
3.145.16.90
close menu
KCI 등재
화법의 교수,학습 방법 ; 말하기 불안 해소의 교수-학습 방법
Teaching-Learning Models to Cope with Speech Anxiety
전은주 ( Eun Joo Jeon )
화법연구 16권 95-124(30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1830804

이 논문에서는 대중 앞에서 말할 때 겪는 말하기 불안의 원인 별 대처 방법을 통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화법 교수-학습에서 말하기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 하였다. 국어과 말하기 교육이나 화법 교육에서는 학생들이 말하기 불안을 느낄 때 이를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자신의 의사소통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교수-학습하여야 한다. 또 이미 발생한 말하기 불안 증상을 해소하는 차원뿐만 아니라 대중 앞에서 말해야 하는 상황에서 말하기 불안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또한 교수-학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말하기 불안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 이론에서 말하기 불안을 완화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던 방법들을 교육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 말하기 불안에 관한 인지적, 감정적, 기능적 관점들은 말하기 불안을 처치하는 과정에서 말하기 불안을 겪는 화자의 자기 진단을 하고 이에 대하여 평가하게 하는 것과, 교사와 동료 학습자의 도움, 말하기 수행을 통한 실제 연습 등을 모두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이들을 적용하여 말하기 불안 해소를 위한 교수-학습 모형으로 통합적 말하기 불안 조절 교수-학습 모형, 기능적 말하기 불안 조절 교수-학습 모형, 비디오 피드백 처치 모형, 간접 형 말하기 불안 조절 교수-학습 모형 등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investigated how to cope with speech anxiety in public, based on the individual cause, and provided a teaching-learning models for dissipating speech anxiety in the field of speech communication. Korean speech education or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provide the students with a way to overcome speech anxiety and to express themselves efficiently. The education should not only teach how to dissipate the anxiety symptoms that have already developed but it should also teach how to minimize the speech anxiety in a public speech situation. For this purpose, we need to apply the methods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associated with speech anxiety. Cognitive, emotional and technical aspects of speech anxiety deals profoundly with self-diagnosis and evaluation by the speaker who suffers from speech anxiety, help from teachers and other learners, and practice through performing actual speech.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vided teaching-learning models of integrated control, technical control, video feedback and indirect speech for relieving speech anxie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