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251.37
18.216.251.37
close menu
KCI 등재
근대 독본의 성격과 위상(3) -1930년대 독본(讀本)의 교섭과 전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 and Status of Early Modern Basic Readers(3) -With a focus on the negotiations and mutations of basic readers in the 1930s
구자황 ( Ja Hwang Gu )
반교어문연구 29권 5-32(28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1843363

이 글은 독본에 대한 개괄적 연구의 일환으로, 주로 `국어(일어)/조선어/문학/문예` 독본에 가려져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몇몇 독본류를 살폈다. 이러한 연구는 독본의 외연을 경계 짓고, 독본 속에서 글말의 기원과 형성은 물론 그 안에 흡착된 정치·사회·교육의 `계기적 흔적들`을 텍스트 안팎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독본문화사를 서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1930년대 독본의 토대와 분화 계기는 `강요된 결핍`에서 비롯되었다. 이 글이 다룬 독본류에서는 대중독자들이 자발적으로 계몽해 가면서 `교양적 회로`가 만들어지고, 때에 따라서는 이를 다시 기능적으로 분화시켜 `실용적 회로`까지 만들어 가는 양상을 주목하였다. 독본의 분화는 지식·교양·문화의 분화와 관련이 깊다. 오늘날 문화 또는 문화적이란 말은 정신적 가치 혹은 고결한 인간적 품위와 연관되어 사용되고 있다. 1930년대 전후 등장한 각종 『청년독본』류는 이러한 개념의 근대적 변종을 잘 보여준다. 처세와 입신의 지향을 담은 독본의 등장, 이른바 편입의 정치학을 매개하는 텍스트로 독본이 전변하면서 `실용적 회로`가 만들어진 것이다. 또 하나의 문화 개념은 언제나 비판적인 성격, 세계의 지배적 질서와 편안히 동거하는 태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논쟁적 특성을 갖는다. 『노동독본』, 『농민독본』류의 경로가 여기에 해당된다. 그러나 이 `교양적 회로`는 식민지시대 중반부터 형성되었으나 형성과 동시에 퇴영한다는 사실을 감안하지 않으면 안 된다. 문화가 그러하듯 독본 역시 사회의 물질적 삶과 분리될 수 없다. 독본은 책의 제목으로 대표되는 개별적 주체나 영역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며, 현실을 반영하는 수동적 텍스트로만 기능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언어를 통해 주체를 형성하는 텍스트로 기능하고 있으며, 그것은 정치적·문화적·교육적 흔적들이 단원의 형태로 직조되어 있다. 그리고 텍스트 전편에 개인과 집단의 특정한 삶의 방식을 만들어주는 사회적 과정이 행간을 채우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a couple of kinds of basic readers that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shadow of the "Korean (Japanese)/Chosun language/literature/literary art" basic readers covered in general researches on basic readers. Studies of this kind can help to write the cultural history of basic readers by making external boundaries of basic readers and investigating the origin and formation of written language in basic readers and further "opportunistic traces" of politics, society, and education absorbed in them in and outside texts. In the 1930s, the foundation of basic readers and the opportunities of their differentiation came from "forced shortage." The kinds of basic readers addressed in the study noticed that the public readers created "educational circuits" voluntarily enlightening themselves and sometimes even "practical circuits" by differentiating them in terms of functions. The differentiation of basic readers is closely related to that of knowledge, liberal arts, and culture. Today the terms culture or cultural are used in relation to spiritual values or noble human dignity. All sorts of "basic readers for youth" that appeared around the 1930s well display the early modern variation of such a concept. The practical circuits were created as basic readers were transformed into the ones whose orientation was toward conduct of life and success in life or texts that mediated the so-called politics of incorporation. Another cultural concept has controversial characteristics, raising objections against the attitude of always being critical or comfortably living along with the world`s dominant order. "Basic readers for labor" and "basic readers for farmers" discussed earlier have a route close to tha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educational circuits started to decline at the same time being created in the middle stage of the colonial period. Just like culture, basic readers cannot be separated from material life in society. Basic readers do not exist as individual subjects or areas to be represented by book titles or function as passive texts to reflect reality. Rather they function as texts to form the subjects through language with political, cultural, and educational traces interwoven as unit forms. And a social process of creating a unique way of life for individuals and groups fills up the lines throughout tex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