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130.155
3.16.130.155
close menu
KCI 등재
알튀세르와 랑시에르
Althusser et Ranciere
박기순 ( Ki Soon Park )
시대와 철학 21권 3호 181-208(28pages)
UCI I410-ECN-0102-2012-150-001845532

이 논문은 알튀세르에 대한 랑시에르의 비판과 결별을 되돌아보면서, 그것이 랑시에르의 사상적 전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알튀세르는 20세기의 대표적인 맑스주의 철학자였으며, 맑스주의에 대한 그의 독특한 독해는 `주체도 목적도 없는 과정`, `중층결정`, `호명된 주체`, `우발성의 유물론` 등의 개념적 유산들을 우리에게 남겨주었다. 랑시에르는 1970년대 중반 『알튀세르의 교훈』이라는 책을 통해 자신의 스승인 알튀세르와 결별한다. 그의 비판은 매우 단호하고 신랄하였다. 이것은 이 결별이 되돌이킬 수 없는 것임을 암묵적으로 의미한다. 실제로 랑시에르는 그 이후에도 자신의 이러한 비판적 태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자신의 스승과의 어떤 화해의 노력도 보이지 않는다. 우리는 이 글에서, 그 결별 이후 그것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두 철학자를 대신해서 어떤 화해와 만남을 시도하기보다는 그 차이와 결별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사유함으로써, 첫째로, 알튀세르에 대한 비판이 랑시에르의 철학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둘째, 두 철학자가 공통의 사유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바로 거기에서 갈라서고 있는 문제, 즉 정치에 대한 사유, 혹은 정치와 철학과의 관계의 문제를 재사유해보고자 한다. 알튀세르의 랑시에르에 대한 비판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알튀세르주의는 사회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는 분할의 논리, 불평등의 논리로서, 대중의 정치를 사유할 수 없는 치안(police)의 논리이다. 둘째, 알튀세르에게 수미일관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은 `이론적 실천의 자율성` 혹은 `철학의 자율성`이다. 이 철학의 자율성 속에서 정치 개념으로서의 계급투쟁은 한 갓 철학적 범주로 전환되고, 그렇게 정치는 철학 속으로 봉합된다. 랑시에르는 『프롤레타리아의 밤』(1981), 『무지한 스승』(1987), 『불화』(1995) 등의 책에서 이러한 알튀세르 사상에 반대하면서 대중운동은 무엇보다도 지적운동이었다는 점, 따라서 정치는 그가 `근원적 평등`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으로부터 이해되어야 하며, 철학은 이 역설적인 문제로서 등장하는 평등을 그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주장하게 된다.

Cet article a pour objectif de mettre en clair les effets produits par la critique faite par Jacques Ranciere de Louis Althusser, son maitre, sur l`evolution de ses pensees philosophiques et sur leur direction. Comme on le sait bien, L. Althusser est sans doute l`un des representants de la philosophie marxiste qui a produit les concepts tels que `proces sans sujet ni fin`, `sujet interpele`, `materialisme de l`aleatoire` etc. J. Ranciere a rompu avec L. Althusser en publiant La lecon d`Althusser en 1974. Ses critiques a l`egard de son maitre ont ete si determinantes et si severes que sa separation avec L. Althusser semblait irreversible. En effet, il n`a jamais revisite cette separation pour se concilier avec son maitre. Nous ne voulons pas, a notre tour, tenter dans ce present ecrit leur conciliation philosophique pour deux philosophes qui se taisent sur l`evenement philosophique qui les a separe. Au contraire, nous pensons qu`il nous est plus utile de mettre au point la difference entre deux en tant que telle. Ce faisant, nous voulons, primo, montrer que la critique rancierienne de L. Althusser est determiannte pour la comprehension des pensees philosophiques de J. Ranciere, et, secundo, poser a nouveau comme notre question philosophique ce qui a ete central pour deux penseurs, mais sur quo ils s`est separes, c`est-a-dire la pensee de la politique, ou plus precisement la relation entre philosophie et politique. Les critiques rancieriennes de L. Althsser se resument en deux points. Primo, l`athusserisme est une logique qui introduit une division dans la societe civile, et pour cette raison merite d`etre appelee logique du partage et de l`inegalite. Or, cette logique inegalitaire, selon J. Ranciere, fait disparaitre la politique. Secundo, ce qui est maintenu dans tout l`ouvre de L. Althusser est l`autonomie de la pratique theorique ou de la philosophie. C`est dans cette autonomie, dit J. Ranciere, que la lutte des classes comme une categorie de la politique se transforme dans celle de la philsophie, et que la politique se sature donc dans la philosophie. J. Ranciere oppose a ces idees althusseirennes ses theses propres qui s`elaboreront apres la separation dans ses oeuvres telles que La nuit des proletaires, Le maitre ignorant, La mesentente etc. Il affirme contre L. Althusser que le mouvement des masses est avant tout intellectuel, que la politique doit etre pensee a partir de ce qu`il appelle `egalite fondamentale`, et que la philosophie a pour objet l`egalite qui apparait sous le signe d`un paradox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