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85.194
3.135.185.194
close menu
KCI 등재
디지털 매체 시대의 아우라 문제에 관하여
Uber das Problem von Aura im Zeitalter der digitalten Medein
심혜련 ( Hea Ryun Shim )
시대와 철학 21권 3호 313-343(31pages)
UCI I410-ECN-0102-2012-150-001826740

발터 벤야민이 기술 재생산 시대의 예술 작품을 분석하면서 그 특징을 아우라의 몰락이라고 규정했다. 그 이후 아우라 몰락에 관한 논의들은 오히려 더 빈번하게 제기되고 있다. 특히 벤야민의 주장이 과연 옳은가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벤야민이 이러한 주장을 했던 시대와 지금의 시대는 다르다. 지금은 기술 재생산 시대가 아니라, 디지털 매체 시대이다. 따라서 그의 논의를 그대로 지금의 매체 상황에 적용해서 이야기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즉 그의 논의를 잘 살리기 위해서는 오히려 디지털 매체 시대의 예술 작품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벤야민이 몰락을 이야기한 이후부터 지금까지 아우라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의를 피해갈 수 없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먼저 벤야민이 아우라 몰락을 주장한 이후 아우라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기술 재생산 시대가 아닌, 디지털 매체 시대의 예술 작품을 벤야민의 의도에 따라 분석하고 있다.

In den 30er Jahren hat Walter Benjamin den Charakter des Kunstwerkes im Zeitalt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als den Verfall der Aura bestimmt. Danach wurde das Problem der Aura und ihrer Verfall haufig im Bereich der Kunst und Altagskultur diskutiert. Daruber hinaus versuchen manche Theoretiker die gegenwartigen medialen Situationen mit Hilfe des Benjamins Aurabegriff zu analysieren. Meiner Meinung nach ist aber dieser Versucht sehr schwer und sogar falsch, weil die gegenwartige mediale Situation die digitalte, anders als Benjamins Zeitalter. Aus diesem Grund werden hier einerseits die verschiedene Interpretationen der Aura und ihrer Verfall im Zeitlater der digitalen Medien behandeln, z. B., Pseudo-Aura, Mediaraura und Aura ohne Aura. Andererseits versucht die vorliegende Arbeit den Charakter der digitalen Medienkunst im Bezug auf die Benjamins Sicht zu erlauter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