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96.61
18.226.96.61
close menu
5.18 광주항쟁의 이데올리기 연구
A Study on the Ideology of the 5,18 Gwangju Uprising
김정한 ( Jung Han Kim )
기억과 전망 18권 73-99(27pages)
UCI I410-ECN-0102-2012-340-00148194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이 글의 목적은 5·18 광주항쟁에 관한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의도적인 강한 이론적 접근을 통해 새로운 해석을 실험하는 데 있다. 이론적 문제틀의 핵심 개념은 대중운동과 이데올로기이다. 특정한 이해관계에 기초하여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을 전개하는 사회운동과 달리, 우발적인 사건을 통해 대중들이 거리에서 자발적으로 대규모 투쟁을 전개하는 대중운동은 짧은 기간에 폭발적으로 발생한 후 소멸한다. 따라서 대중 운동의 동학을 잘 보여주는 것은 그 이데올로기이다. 현대 맑스주의와 정신분석학에서 이데올로기 개념은 개인이 주체로 구성되는 주체화 과정을 설명하는 주요 용어로 다듬어져왔다. 이데올로기는 사회 현실을 인식/오인하는 틀이며, 그에 따라 주체는 자신의 사회적·상징적 동일성을 획득하고 특정한 실천 행위를 전개한다. 그러나 대중운동에서 대중들은 피지배이데올로기나 대항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지배이데올로기를 통해 투쟁을 전개한다. 또한 지배이데올로기의 호명에 균열이 일어날 경우에도 자신들의 환상을 적극적으로 투영하여 지배이데올로기를 이상화하고 그것을 문자 그대로 현실화시키려 한다. 5·18 광주항쟁에서도 대중운동의 이데올로기는 한국 사회의 지배이데올로기인 자유민주주의였으며, 더구나 반공을 전제하는 자유민주주의였다. 특히 항쟁공동체는 자유민주주의를 1980년 5월의 광주라는 시공간에서 실현시키려는 불가능한 시도였으며. 동시에 자유민주주의를 매개로 사유재산도 계급도 없는 참된 민주주의를 체험하는 항쟁주체의 환상이기도 했다. 요컨대 5·18 광주항쟁에서 항쟁주체들이 지배이데올로기인 자유민주주의를 항쟁공동체에서 문자 그대로 현실화시키려 할 때, 그것은 돌이킬 수 없는 거대한 이데올로기적 반역으로 변모했다.

This paper aims not to find out some new facts of the 5·18 Gwangju Uprising but to introduce a new interpretation of it through a theoretical approach. The main concepts in its theoretical problematique are masses movement and ideology. The masses movement in which the masses(the multitude) struggle spontaneously for liberty in the Street by accident is characterized by contingency, temporariness, spontaneousness and unorganization, while the social movement mobilizes its members and supporters systematically, motivated by certain social interests. Thus it is the ideology that shows well the dynamics of the masses movement. The concept of ideology in the modern marxism and psychoanalysis has been elaborated to explain the subjectivation which constitutes individuals as subjects. It is a framework of recognition/miscongnition of a social reality, and the subjects deploy certain acts while acquiring their social and symbolic identity through it. But the masses struggle through the dominant ideology, not through the ideology of the dominated or the counter-ideology, and furthermore, they also idealize the dominant ideology against it`s failure and try to actualize it literally with their fantasy. The ideology of the 5.18 Gwangju Uprising was that of a liberal democracy which dominated South Korea since Korea war with its anti-communism. Many of the citizens made particularly an alternative community of resistance as a sort of imagined community which was an impossible effort to actualize liberal democracy literally in May 1980. It was, at the same time, the fantasy of the subjects that had a lived true democracy through it, which had no possession and class antagonism. In short, when the dominated collectively undertake to act literally according to the dominant ideology, they transform it irresistibly into a ideological revol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