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22.169
18.219.22.169
close menu
KCI 등재
고전기사와 일상성(日常性)의 문제 ; 기조발표 : 공시적 관점에서 본 고전시가와 일상성의 문제
Aspects of between Korean Old Poetry and Dailiness -Specially from the Synchronical Point of View-
양태순 ( Tae Soon Yang )
한국시가연구 29권 7-35(29pages)
UCI I410-ECN-0102-2012-810-001837735

일상성에 내포된 의미를 가운데 현대라는 시간, 산업사회에서의 도시라는 공간, 진정한 삶을 위해서는 벗어나야 할 굴레라는 부정적인 인식 등은 근대 이전 우리 선인들의 일상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이외의 의미를, 예컨대 하이데거가 말한 잡담·호기 심·애매함이 현대 일상성의 존재양식이라는 것, 레비나스가 말한 향유를 통한 일상적 주체의 확립, 르페브르가 말한 현대의 일상성은 양식이 부재한 소비와 광고의 사회를 특징으로 한다는 것 등은 고전시가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우리들의 일상적인 삶의 존재양식은 잡담과 호기심, 그리고 애매함으로 표현된다는 점은 고전시가 〈쌍화점>, <사룡>, <사룡〉류의 시조들에서 확인되었다. 레비나스가 일상성의 토대라고 한 집이라는 거주공간이, 송순의 시조와 오규원의 현대시에서는 자연과 분리 단절된 공간이 아니라 함께 하는 공간으로 표현되었다. 요컨대 그들의 작품에서 자연세계는 소유물화되지 않았던 것이다. 양식이 부재한 현대의 일상성은 소비와 광고의 사회라는 르페브르의 진술을 바탕으로 고전시가인 〈한림별곡〉과 함민복의 현대시 〈광고의 나라〉를 대비시켜 본 결과, 전자의 경우 당대인의 삶과 문학작품에 형식과 주제의 양면에 걸쳐 양식이 있었는데 반해, 후자의 경우 그것이 부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의 일상성이라는 개념을 가지고도 고전시가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 할 수 있음을, 그리고 일상성의 개념에 기댈 때 고전시가와 현대시 사이에도 공통점이 발견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일상성의 측면에서 보더라도 고전시가는 현대시의 토대가 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고 하겠다.

Some meanings of dailiness such as the modern times, the city town places of industrial society, the negative recognition that we have to get rid of the dailiness for our true life have nothing to do with Korean predecessors. But the others such as chitchat, curiosity, obscurity which were referred to as the being mode of dailiness by M. Heidegger and establishment of subjectivity through possession which was referred by Emmanuel Lvinas and the absence of style in modern dailiness which was referred to as characteristic of the society of consumption and advertisement by Henri Lefebvre will be applied to the Korean old poetry. Chitchat, curiosity, obscurity which were referred to as the being mode of dailiness by M. Heidegger were certified in the Korean old poetry A house which Emmanuel Lvinas referred to as the foundation of dailiness was not the place cut off from natural world but the place connected with it in Song Soon`s old poetry Sijo and Ohgyuwon`s modern poetry. In the final analysis, the natural world in their works did not come into their possession. Both old poetry and Ham minbok`s modern poetry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 of the society of consumption and advertisement, but the former involve style of the form and theme,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did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