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81.94
3.16.81.94
close menu
KCI 등재
조선시대 사족층의 시조와 일상성 담론
The Joseon Gentry`s Discourses on Allteglicbreit and people`s Daily Lives through their Siji Works
임주탁 ( Ju Fak Yim )
한국시가연구 29권 37-66(30pages)
UCI I410-ECN-0102-2012-810-001831319

시조를 지어 부르는 행위는 작가의 일상을 이룰 수 있지만, 시조는 기본적으로 공적 발화의 성격을 띠고 있어서 `일상`의 구체적인 모습을 담아내는 문학으로 자리하기 어려웠다 대부분의 시조는 작가의 `실제적인 일상`을 핍진하게 드러내기보다는 `규범화되고 이상 화된 일상`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하여 이 논문에서는 `일상성 담론`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일상성에 대한 조선시대 시조 작가의 인식 내용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시조 문학과 일상 성의 관계를 논의해 보았다, 첫째, 맹사성과 황희는 각각 사족층과 농민층이 일상적으로 실천할 삶의 태도와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그 핵심은 자연적 순환질서와 그에 상응하는 국가 사회의 질서에 순응하는 태도를 견지하며 과도한 욕심은 버리고 검소하고 소박하게 사는 것이었다. 둘째, 이현보와 이황, 이이 등도 기본적으로는 이러한 태도와 방식을 수용하되, 이현보는 자기수양을, 이황은 진리 학습 과정으로서의 독서를 이이는 진리 탐구 및 발견 과정으로서의 학문을 사족층의 일상생활의 중심에 둘 것을 아울러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담론은 사림파 중심의 국가 사회 질서가 공고히 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었다. 셋째, 중앙 정계에 진출할 기회를 가지지 못한 이홍유와 위백규는 현실 정치에 대해서는 비슷한 시각을 가진 것으로 보이지만, 노래를 통해서는 사뭇 다른 면모를 보여주었다. 즉, 이홍유는 비록 향촌사회에 살고 있지만 그를 비롯한 사족층은 현실 정치에 대한 비판의식을 일상 적으로 지니고 있어야 함을 노래한 데 비해, 위백규는 농사를 중심으로 사족을 비롯한 인 민이 일상적으로 실천해야 할 삶의 태도와 방식을 노래로 제시하였다, 이처럼 조선시대 사족에게 시조 문학은 일상성 담론 곧 일상생활을 어떻게 영위할 것인 가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는 장으로 기능하였다 따라서 시조 문학의 일상성은 담론 성격을 띤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담론은 실제 사족의 일상생활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사족의 일상에 대한 담론이 일상생활의 일부로 자리하고, 그것이 국가 사 회의 구조를 유지하는 토대가 되었다면 시조 문학을 대상으로 하는 일상성에 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이 논문은 그러한 관점에서 시조문학에 함축된 일상성 담론을 분석해 본 것이다. 이 논의가 조선시대 사족의 시조 문학을 좀 더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Joseon gentry`s Sijo works seldom presented various aspects of their daily lives, because Sijo was not private but public form of song and had been used as a propaganda vehicle of reigning their people. Most Sijo works had described ideal lives of people including themselves, so I debate the issue of the relation between their Sijo works and Allteglichkeit in terms of discourses which present their thoughts about their people`s daily lives. Firstly, Saseong Maeng, the writer of Ganghosasi-ga, presented the gentry`s attitudes and forms of lives whereas Hee Hwang, the writer of Sasi-ga did ones of the peasant. All of them emphasized that the people had to live in sympathy with nature and adapt themselves to circumstances without greed. Secondly, Hyeonbo Lee, the writer of Eobu-ga, Hwang Lee, the writer of Dosan-sibigok, and Yi Lee, the writer of Gosangugok-ga, all accepted it, but each of them emphasized another content of daily lives of the gentry. Hyeonbo Le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lf-discipline of the gentry. While Hwang Lee valued reading the scriptures of Confucians through which the gentry could study and practice the truth which former great men like Confucius had founded, Yi Lee valued trying to find out, by themselves, the truth which was inherent in the nature and their circumstances of the day. These discourses seemed to be made in the period that the reign order of Joseon had been re-established by the gentry from country districts. Thirdly, Hongyu Lee, the writer of Snamin-yukka, and Baekkyu Wi, the writer of Nong-ga, all of them did not have chance to live the capital, presented deferent discourses from the former writers. While Hongyu Lee suggested that the gentry like him had to keep always their critical consciousness against the gentry who lived in the capital, Baekkyu Wi embodied ideal daily life of the peasant to which the gentry living in country districts belonged. Like above, discourses of the gentry at their Sijo works were deferent from each others, discourses on how to lead daily lives of people`s. This conclusion means the form of Sijo has functioned as literary space in which writers from the gentry their opinions about their and people`s ideal daily lives for maintaining the nation oder made by themselv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