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3.89
18.118.23.89
close menu
KCI 등재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 『시가전(詩歌典)』의 특성과 계보
The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of Sigagok(詩歌典), Gagok Anthology in the beginning of 19th Century
권순회 ( Soon Hoi Kwon )
한국시가연구 29권 157-179(23pages)
UCI I410-ECN-0102-2012-810-001687888

본고는 신발굴 가집인 『詩歌曲』을 학계에 소개하고 주요 특성과 계보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시가곡』은 시조 사설 419수, 가사 3수가 수록된 가곡 가집이다. 필사본 1冊 楮紙에 총 67장으로 구성되었다. 편찬자, 혹은 편찬 집단을 알려주는 단서는 찾을 수 없다. 편찬 연대는 1816~1819년 전후로 파악된다. 사설은 줄글 형식으로 배열하되 가곡의 형식에 따라 章을 구분하였다. 뿐만 아니라 일체 작가 정보를 수록하지 않고 악곡별 배열 방식을 취하고 있다. 『시가곡』의 수록 가곡은 19세기 전반 가곡 연행의 특성을 두루 갖추고 있다. 우조와 계면조에 따라 창곡을 배열한 점, 여창의 존재를 분명히 한 점, `두거`, `반엽` 등 19세기 전반에 파생된 창곡의 존재 등이 그것이다. 특히 『시가곡』은 `두거`가 독립된 창곡으로 확실하게 자리를 잡고 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문헌이다. 아울러 `솔낭이`, `산락(散落)`, `긴농` 등 다른 가집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특이한 창곡명이 등장한다는 점도 흥미롭다. 이처럼 『시가곡』은 19세기 전반 파생곡을 온전하게 수렴하고 있는 가집이다. 『흥비부』와 더불어 19세기 전반에서 『가곡원류』기로 넘어가는 시기의 가곡 연행의 특성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4장에서는 『시가곡』이 『歌譜』(국립중앙도서관소장)의 善本이라는 계보학적 사실을 밝혔다. 『가보』는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의 특성을 보여주는 자료로 주목을 받아왔다. 하지만 우조와 계면조의 분류에서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다른 가집에서 볼 수 없는 생소한 창곡명이 등장하여 연구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내던 가집이다. 대교를 통해 두 가집이 이본 관계이고 그 가운데 『시가곡』이 선본이라는 사실과 창곡명 표기에 다소간의 혼란이 있을 뿐 『가보』 또한 정연한 체제를 갖추고 있는 가집이라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In this thesis, I introduce Sigagok(詩歌曲) to the academic world for the first time and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Sigagok is the gagok anthology which includes 419 sijo and 3 gasa. It is 1 manuscript book and is composed of total 67 pages. We could not find any clue about the compiler or compilation group. We can just figure out that the compilation period is around 1816~1819. Lyrics are arranged in narrative form and are divided by 5 chapters form. And also, it has no information about writers and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tunes. The gagoks in Sigagok get all the characteristics of gagok performance in the beginning of 19C. Those are the tunes arrangement according to u-jo and gyemyen-jo, the recognizing woman`s song and the tune like `dugeo(頭擧)` and `banyeop(半葉)` in the beginning of 19C. Particularly, Sigagok is the oldest document that `dugeo` is positioned as an independent tune. And it is the interesting thing that `salnangi`, `sanrak(散落)` and `ginnong` were discovered. Those are not found in other anthology. For such a reason, Sigagok is an anthology that includes the most of tunes in the beginning of 19C. Sigagok and Heungbibu(興比賦) clearly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agok performance from the beginning of 19C to the period of Gagokwonryu (歌典源流). In chapter 4, I discovered that Sigagok is the best version of Cabo (歌譜,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Cabo includes the most of gagok`s characteristics in the beginning of 19C. However Gabo lacks consistency of the notes` classification and includes the unfamiliar name of tunes. I found that Sigagok is the best version. Gabo is a different version of Sigagok and also an anthology which is in good order except the confusion of tune name`s mark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