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1.100.34
3.21.100.34
close menu
KCI 등재
녀창가전(女唱歌典)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의미
Representation of Love in the Yochang-gagok
김진희 ( Jin Hee Kim )
한국시가연구 29권 181-208(28pages)
UCI I410-ECN-0102-2012-810-001842925

女唱歌曲은 여성 唱者를 위해 따로 모아 놓은 일련의 가곡 작품들로서, 19세기 가집들에 수록되어 있다. 그 동안의 연구에서는 이를 19세기 유흥 문화와 관련된 감상적 산물로만 규정하였다. 그러나 여장가곡에는 이러한 측면만으로는 포착되지 않는 특징적 면모들이 내재되어 있다. 그것들은 여장가곡의 일반적 주제인 애정의 형상화와 관련되어 있는데, 즉 前代 유사애정시의 전통과 변형, 口語를 활용한 자의식의 표현, 과감한 비유를 통한 환희와 열정의 표현 등이 그것이다. 여장가곡의 이러한 애정 형상은 동시대 남창가곡에서 보이는 감상적이거나 희극적인 가벼운 애정 양상과는 달리 진지함을 그 특정으로 한다. 이러한 진지함은 여장가곡이 19세기 妓房 문화의 수동적 산물만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그 안에는 이상적 애정의 가능성을 통해 계급적 한계의 초월을 꿈꾸었던 여장가곡의 가창 주체들, 즉 기생의 삶과 정서가 녹아 있는 것이다. 이로 볼 때 여장가곡은 "여성적"인 것에 대한 당대 통념의 산물만이 아니라, 실제 여성의 현실과 경험을 독창적 형식을 통해 표현한 "여성의" 노래이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Yochang-gagok or a selection of the sijos performed by female singers was formed on the basis of the popular culture of Seoul in the 19th century. In this context, it has often been characterized by popular sentimentalism although it bears other literary characteristics than that. Its representations of love are specific and creative in the aspects as follows: the innovation of the traditional love poetry, the expression of self-consciousness by means of Korean vernacular, and the verbalization of rapture and passion through bold metaphors. These features can be summarized in a word, seriousness, which is opposite to the lightness of the namchang-gagok or a selection of the sijos performed by male singers: it represented love only sentimentally or comically. The seriousness embedded in the yochang-gagok indicates that the yochang-gagok was not only the product of male customers` taste, but also the work that reflected the reality and desire of the female singers, kisaengs, who yearned to surpass class boundaries through ideal love`s possibility. In this respect, the yochang-gagok was not the reproduction of feminine stereotypes, but the female discourse that expressed real women`s experiences and feeling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