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251.22
18.226.251.22
close menu
KCI 등재
조선후기 사행가사의 창작 과정과 언어적 실천의 문제
The Varbal Practices Associated With the Lyrics of the Creative Process of Sahang-Gasa
김윤희 ( Yun Hee Kim )
한국시가연구 29권 235-268(34pages)
UCI I410-ECN-0102-2012-810-001812794

본고는 조선후기의 사행가사가 한문일기를 토대로 창작된 정황이 발견된다는 점에 주목하고 국문가사로의 변환이라는 문학적 실천의 측면에 유의하여 그 실제를 분석한 후 이를 근대적 글쓰기의 문제와 연계하여 살펴볼 것이다. 특히 한문과 국문이라는 언어 표기의 차이에 따른 언어적·문학적 특질을 비교해 봄으로써 국문가사로 창작되는 과정에서 생성 된 새로운 문학적 요소들이 발견된다는 점에 주목해 보았다. 일차적으로 한문으로 된 사행 일기를 가사문학으로 창작한 실천적 행위는 `모어`를 통해 의미를 표현하고 전달하고자 당대인들의 문학적 욕망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나아가 창작 주체는 한문과 국문 사이의 대칭적 구조와 차이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변환 과정에서 자국의 문화적 환경에 적합한 어휘를 선택하고 통사 구조 및 문단 단위에 따른 체계적 재구성을 시도하는 등 가사 문학적 향유 맥락에 따른 언어적 실천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특히 변환의 과정에서 국문 언어의 구체적 감각이 확보된 어휘들이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자국어만의 가치와 효용성을 전제로 한 문학적 실천 행위라는 점에서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일동장유가〉에서는 자국어 어휘의 고유한 미감이 선택·활용된 문학적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유일록〉의 경우 한문 일기와 비교했을 때 체계적이고 사실적인 장면화를 통해 언어적 전달 효과가 강화된 측면이 확인 되었다. <셔유견문록〉의 창작 과정에서도 감각적이고 구체적인 자국어가 활용되어 가사문학의 미감이 생성된 지점을 포착할 수 있었다. <무자서행록〉의 필사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추론해 볼 수 있듯이 사행가사 작품들의 이러한 언어적 실천 행위는 가내 소통은 물론 다수의 지적 욕망 및 호기심을 충족케 하는 층위에서 작품들의 효용성이 생성·발휘된 문학적 향유 맥락을 짐작케 한다. 사행가사의 창작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 조선후기의 이러한 문학적 현상이 양적 부족 이라는 근본적 한계를 안고 있음에도 그 가치가 재조명되어야 하는 것은 근대 문학과의 단절적 논의를 지양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20세기 초반의 국문이 `민족국가의 건설`이라는 당위적 명분과 관련하여 그 담론과 실천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언어와의 관계망 속에서 조선어만의 특질이 강조되는 글쓰기가 근대에 와서야만 실천·실험·발견되기 시작했다는 단절적 논의는 보다 섬세한 층위에서 재고찰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시각이다. 조선후기의 경우 이념적 기제로서 `국어`가 담당한 사회적·정치적 기능이 발휘·강조되지 않았을 뿐 자국어로 된 문학의 언어적 특질과 그 실천적 의의는 한문 기록과의 대비를 통해 매우 선명하게 포착됨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본고의 試論的 시각이 다양한 고전시가 작품들에 대한 실증적인 접근으로 확대되어 당대인들의 욕망과 세계관이 자국어 문학의 실천적 측면과 연계되어 발현된 문학적 특질과 효용성을 거시적으로 조망케 하는 논의로까지 심화·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cases that Sa-hang Gasa(Korean classic poetry) translating its diaries which is written by Chinese letter in the late of Chosun Dinasty. In particular, it is focused the verbal process converting into Gasa from diaries. So it`s very important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enres and languages. In this process, it is inferred new literary elements in Gasa literature. First, the practice creating Sa-hang Gasa in Korean letter have a meaning as a representation of his literary desire. Furthermore, the creative subject was already recognized the symmetrical difference between the Chinese and the Korean.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conversion, he selected for its own vocabulary which is suitable in the cultural environment. And according to the syntactic structure and paragraphs, including a systematic attempt to reconstruct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lyrics sa-hang gasa were created by linguistic practice. This tentative trial will deepen researching other classic poetries. Because We have to know the verbal practices associated with Korean letter had been prolonged but in pre-modern literatur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