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8.102.90
3.148.102.90
close menu
KCI 등재
공간 이동을 통해 본 월남인의 인생행로 -이범선의 『흰 까마귀의 수기(手記)』를 중심으로
Spacial Movements and Life Course of the Wollam`in: Focused upon A Memorandum of White Crowby Lee Beom-seon
변화영 ( Hwa Young Byun )
현대문학이론연구 41권 191-211(21pages)
UCI I410-ECN-0102-2012-800-001704626

기억과 상상의 유기성을 통해 형상화된 『흰 까마귀의 手記』는 이범선의 자서 전적 소설이다. 분단과 전쟁의 포화 속에서 경험했던 과거 사건의 기억들을 자전적으로 기록한 이 소설은 북한의 안주에서 남한의 서울로, 서울에서 부산으로, 그리고 또 다시 서울로 이어지는 공간적 이동이 작품을 이해하는 중요한 통로가 된다. 공간이동의 요인은 `나`의 자발적인 이주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분단과 전쟁 탓으로, 그 공간 이동에는 역사적인 시간의 흔적이 내재해 있다. 분단 이후 30년이라는 한 세대를 지나는 동안에 일어난 공간 이동은 노년기에 접어든 월남인의 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근거가 되는데, 이때 고향은 인생행로의 주축으로서 의미가 있다. 고향은 이미 분단 이전의 모습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고향이 여전히 상황에 따라 수용되고 변모되면서 부단히 재생산될 수 있는 것은 그곳이 실재공간이 아니라 상상된 상징으로서의 심상공간이기 때문이다. 『흰 까마귀의 手記』에서 상황에 따라 변주되는 심상공간으로서의 고향은 월남인 `나`는 물론, 저자 이범선이 자기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의 출발점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dentity and life course of the wollam`in(who migrated from North Korea) through the movement of space which represented in a novel, A Memorandum of White Crowby Lee Beemseon. The novelist, Lee Beomseon, did figure his own experiences as an wollam`in in this novel which depicted by the biographic facts and imaginary fiction. Through a series of migration or movements of space, from Anju in North Korea to Seoul in South Korea and from Seoul to Busan which described in the novel, we can recognize the life course of an wollam`in. The migration and spacial movement of the Self who portrayed in the novel as a man who migrated 30 years ago and around his 60s, is an important point to understand the life course of an individual as well as to find out the social relationship among the wollam`ins. In other words the wollam`in who migrated place to place and experienced the separation of family because of the Korean War did form a distinctive identity that different from the others. However, despite of this circumstance, he remembered always his homeland which had been the base of his identity construction and the center of his own life course. Due to this point, within Korean Peninsular, the wollam`in should be treated as a person who lost his homeland rather than a diaspora who simply dispersed by the power or the Others. In A Memorandum of White Crow, the wollam`in who might be the novelist not only remembered his homeland as an imaginary space, but also thought the Korean Peninsular as one native place or motherland not two different nat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