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2.222
18.118.12.222
close menu
KCI 등재
경계넘기의 서사적 재현 -국경을 가로지르는 여성의 서사: 『바리데기』, 『리나』, 『찔레꽃』
A Study on Narrative Representation of Transboundary: Narration of Females Crossing Borders: Baridegi, Lina, Jjile-ggot
문재원 ( Jae Won Mun )
현대문학이론연구 41권 231-255(25pages)
UCI I410-ECN-0102-2012-800-001869557

오늘날 문화적 공간에서 재현되는 월경(越境)에 대한 서사는 전지구화의 반영이면서도 전지구화에 대한 문화적 대응양식으로 볼 수 있다. 전지구적인 문화의 헤게모니는 결코 단일한 힘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로컬, 계급, 젠더나 인종 등 다양한 사회적 차이와 결부되어 불균등하게 편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화적 대응은 결코 단일한 아이덴티티로 환원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힘들이 충돌해 가는 과정 속에서 복합적으로 생성된다. 그렇다면 월경에 대한 서사는 유행처럼 넘어가는 이주의 행렬에 주목할 것이 아니라, 이곳과 저곳의 경계들이 충돌하는 지점이 어디인가를 주시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 충돌지점이야말로 경계의 문턱(한계)을 드러내는 일이며, 이를 직면하는 일이야말로 월경(trans-)에 대한 진지한 모색으로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황석영, 『바리데기』(창비, 2007), 강영숙, 『리나』(랜덤하우스, 2006), 정도상, 『찔레꽃』(2008, 창비)을 중심으로 월경의 재현양상을 살펴보았다. 공통적으로 월경의 주체를 여성으로 내세운 이 작품들은 지역, 젠더, 계급 등의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경계넘기라는 보편적 사건 안에 다시 개별적이고 특이한 사건을 만들어 내고 있다. 또한 이들이 경계 밖으로 추방당한 타자의 얼굴로 재현되면서도 한편으로 기존의 경계가 강제하는 배치에 포획되지 않으려는 탈주의 선을 잠재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Narrations about transboundary represented in cultural space in these days are the reflection of globalization, and the aspects of cultural respondence about it. Hegemony of the globalized culture doesn`t exist in a single power, but is distributed inequally, combined with social differences such as locals, classes, genders or races in itself. Therefore, this cultural respondence is never returned to a single identity, but produced in combination in the process that different powers crash with each other. Then, it is important that narrations about transboundary focus on the spots where the boundaries crash rather than the parade of migration like an epidemic. That`s because these spots reveals the limitation of boundaries and facing them makes us earnestly seek transboundary. In this study, the aspects of the representation of transboundary are investigated, focused on Baridegi(Hwang Seok-yeoug, Changbi, 2007), Lina(Kang Yeong-suk, Random House, 2006), Jjile-ggot(Jeong Do-sang, Changbi, 2006). Those works which set females as the subject of transboundary produce individual specific events in the general events of transboundary. Also, it is remarkable that they are represented as the face of other who was deported to the outside of boundary, and they make the line of escape not to be captured by the arrangement which was forced by the existing boundari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