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63.174
18.116.63.174
close menu
KCI 등재
서동설화의 기록화 양상 연구
The Study On a way in which Seodong Seolwha has been recorded
변종현 ( Jong Hyun Byun )
배달말 47권 1-27(27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1852091

서동설화는 근본적으로 역사와 설화가 통합된 이야기이기 때문에, 이러한 텍스트로 바라보아야 설화의 의미가 잘 드러난다. 서동설화를 역사적 사실과 설화적 사실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삼국유사> 무왕조의 기록에서 무왕이 미륵사를 창건했다는 것은 역사 기록에서도 입증이 되고, 미륵사터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미륵사터가 습지였다는 것도 확인이 되었다. 그리고 서동이 마를 캐던 곳에 황금이 흙더미처럼 쌓여있다는 것도 역사적 사실에 가까운 기록이라 여겨진다. 즉, 익산과 인접한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는 채금하던 곳이 수십 곳이 남아있고, 지금도 금구면에서는 겨울철에 沙金을 채취하고 있다. 師子寺에 거주했다는 知命法師는 서동설화에서 주요한 인물로 등장하는데, 현재 미륵산(용화산) 정상 밑에 있는 獅子菴을 발굴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명법사가 거주했다는 師子寺와 같은 절임이 확인되었다. 서동설화에서 설화적 사실은 무왕의 탄생담과 무왕과 선화공주의 혼인, 지명법사의 신력 등을 들 수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하면 武王은 法王의 아들로 되어 있지만 외아들이거나 후궁 출신 비에서 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후궁의 소생이라면 ‘어머니가 홀로 되어 못에 있는 용과 관계하여 낳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무왕이 용의 정기를 타고 태어났다는 것은 신화적 영웅들이 그러한 것처럼 신이한 출생담을 가지게 되었다. 무왕은 역사적 인물에서 민중들의 소망을 실현시켜줄 영웅적 인물로 새롭게 그려진 것이다. 서동설화는 미륵사 창건 연기설화이기 때문에 <삼국사기> 기록에 의하면 무왕은 아버지인 법왕의 불심에 감화를 받아 익산 지역에 왕흥사(미륵사)를 세우게 된다. 왕흥사는 창건한지 34년만인 634년에 완성되었고, 당시 백제인들이 작성한 사리봉안기에는, 미륵사는 무왕의 왕비인 佐平 沙탁積德의 따님이 창건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선화공주는 설화적 인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무왕과 선화공주의 혼인은 입증하기 어려우며, 역사적으로 보아도 그 당시 신라에서 적대국가인 백제에 선화공주를 시집보냈다는 것은 납득하기 힘들다. 미륵사터인 연못을 知命법사가 하루밤 사이에 神力으로 메꾸었다는 사실도 역사적 사실과 불교적 영험이 결합되어 형성되었다. 즉 미륵사지는 발굴 과정에서 습지였다는 것이 밝혀져서, 결국 미륵사터는 연못을 메꾸어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겠고, 知命법사는 불교의 영험과 이적을 보여준 고승으로 그려져 있다. 서동요는 사뇌가 형식의 노래와는 다른 민요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노래이다. 초기 연구자들은 대체로 무왕이 창작한 노래로 보았으나, 후대 연구자들은 서동이라는 인물이 구비전승되던 동요에 서동과 선화공주를 넣어 개작하였다고 보았다. 이 노래를 서동설화 속에서 읽지 않고 노래 자체만을 가지고 부를 때에도 이 노래의 동요적 성격은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이 노래는 현재 아이들이 부르는 동요인 ‘얼레꼴레리’라는 노래와 비슷한 내용과 구조로 되어 있다. 서동요는 오랫동안 익산과 부여지방에서 구비전승되다가 일연스님에 의해 기록화되었는데, 노래말의 내용 가운데 ‘원乙’은 <삼국유사>의 같은 글자의 용례로 볼 때에 ‘알을’로 해독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서동요는 사랑의 주가나 사회 변혁을 예언하는 참요, 하층민들의 신분상승욕구가 반영된 노래로 바라보기도 하고, 이 노래를 불교적 성격을 가진 노래로 파악하여 선화를 미륵선화로, 서동을 미륵으로 이해하여 미륵하생 신앙을 표현한 노래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Seodong Seolwha is basically a mixture of history and folk tale, and its text reveals what a folk tale is. Seodong Seolwha can be considered from two viewpoints; a history and a folk tale. Samguk Yusa ( a collection of legends, folk tales, and historical accounts relating to Goguryeo, Baekje and Silla) recorded that King Mu(the thirtieth king of Baekje Dynasty) established Mireuksa(a Buddhist temple), whose site used to be a marsh. It was found out while the site was excavated. A historical story has been told that a great mass of gold had been piled up at the place where Seodong had digged out yams. Jimyoung, a buddhist monk, who had stayed at Sajasa (a temple), was a main character in Seodong Seolwha. While Sajaam around the top of Mt. Mireuk (Mt. Yongwha) was excava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le was the same place as Sajasa where he had stayed. Seodong Seolwha have some elements of folk tales;the birth story of King Mu, the marriage of King Mu and Princess Seonwha, and the divine power of Jimyoung monk. Even though Samkuk Sagi recorded that King Mu had been a son of King Beob, he might have been an only son or a son of royal concubine. If he had been a son of royal concubine, the story of Samkuk Sagi could be true. It says, `My mother was widowed and then she gave birth to me with a dragon living in a pond`. Like other mythical heroes, he also had supernatural birth story that he was born with the spirit of dragon. Seodong Seolwha in Samkuk Sagi contains a tale about the establishment of Mireuksa. According to the record, King Mu was impressed by his father, King Beob`s devotion to Buddhism so that he built Wangheungsa(Mireuksa, a temple) in Iksan. In 634 Wangheungsa had been finished 34 years later since it started to be built. According to records which Baekje people had written for keeping sarira relics at that time, Mireuksa was established by King Mu`s wife who was a daughter of Sataekjeokdeok(沙탁積德), a high-ranking official. Therefore, Seonwha princess could be a character in a folk tale. Therefore, Seonwha princess could be a character in a folk tale.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marriage of King Mu and Seonwha princess and to understand the marriage between King Mu and Seonwha princess who had lived in hostile countries, Baekje and Silla. It has historically been told that Jimyoung monk filled up the pond, a site of Mireuksa for a night. The story was the mixture of a historical fact and a buddhist miracle. It was revealed during excavation that the Mireuksa site used to be a marsh, which was filled up to build the temple. According to the record, Jimyoung was described as a monk who had a buddhist`s miracles and wonders. Seodongyo is a folk song style, not a sanoega style. Samkukyusa recorded that it had been composed by King Mu. It is controversial whether it had been created by an individual or had been handed down orally. Early researchers thought that Seodongyo was created by King Mu but later researchers presented that a Seodong adapted a traditional children`s song for Seodongyo by adding Seodong and Seonwha princess. Apart from Seodongyo in Seodong Seolwha, this song is a children`s song style in itself. In other words, this song has the similar words and structure to `eoleri koleri`, a children`s song which today`s children sing. Seodongyo had been handed down in the region of Iksan and Buyeo for a long time until it was recorded by Ilyeon monk. ‘원乙’ among words of the song can be interpreted as ‘aleul’ according to its use of Samkukyusa. Seodong can be variously analyzed as a song for love, a song which predicts the change of society, and a song to reflect a desire that common people want to move up in their position. When this song is classified as having a buddhist feature, Seonwha is regarded as Mireuk Seonwha from the view point of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and Seodong as Mireuk. As a result, this song could be considered as a song to express a religious belief that Mireuk appeared in the worl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