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56.156
3.133.156.156
close menu
KCI 등재
구술발화의 전사와 분석
On Transcription and Analysis of Narratives in the Korean Dialects
이기갑 ( Ki Gap Lee )
배달말 47권 67-91(25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1867569

이 글은 2004년부터 국립국어원이 수행하고 있는 지역어 조사 사업 가운데 구술발화의 조사 및 전사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전사 작업에서 구술발화를 형태 전사가 아닌 음운 전사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 지적되었다. 구술발화를 통해 할 수 있는 언어학적 작업이 주로 문법이나 담화 연구로 제한된다면, 음운 전사보다는 오히려 형태 전사가 더 효율적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더구나 구술발화의 자료가 말뭉치 자료로 이용될 경우, 전산 작업을 위해서도 형태 전사는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사의 단위를 억양단위가 아닌 문장으로 삼았다는 점도 아쉬운 점의 하나였다. 실제 입말 담화는 완전한 문장 형태를 보이지 않는 수가 대부분이었고, 또한 억양단위가 하나의 새로운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단위라는 생각을 고려하면, 문장보다는 억양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전사를 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는 것이다. 구술발화의 분석을 통해 가능한 담화론적 작업은 입말 고유의 문법을 발견해 내는 일, 담화의 진행을 돕기 위한 다양한 담화적 장치들을 찾아내는 일, 그리고 구술발화가 보여 주는 특정 표현의 사용 빈도를 통하여 언어 변화의 방향과 정도를 알아내는 일 등이다.

Traditionally, dialect survey has been carried out for lexical items and phonological and grammatical features of specific dialects. However, recentl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has been trying to include spontaneous spoken narratives for the questionnaire of dialect survey. Transcribing narratives, which is necessary for linguists to analyze spoken discourses, requires much time and effort.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transcription system for the narratives and suggest that we adopt Chafe`s concept of intonation unit and various prosodic and nonlinguistic features for better transcription. In the latter part of the paper, we try to show that we can discover not only the discourse strategy and the spoken discourse grammar in synchronic point of view, but also the historical change of Korean discourse grammar with the analysis of spoken narrative data in the Korean dialect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