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94.251
3.145.94.251
close menu
KCI 등재
정책혁신과 확산 연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Innovation and Diffusion Theory in Policy Research
김대진 ( Dae Jin Kim ) , ( Frances S Berry )
UCI I410-ECN-0102-2012-350-001798792

본 연구는 정책혁신 및 확산(Public Policy Innovation and Diffusion)의 연구틀(framework)올 기초로 행하여진 주요한 연구들과 최근의 이 분야에서 거둔 연구 성과들을 정리. 분석함으로써. 정책혁신의 확산 연구가 그동안 거둔 학문적 발전을 간략히 소개 하고. 이 연구 분야가 향후 정책학 연구의 한 분야로서 건실히 성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과제들은 무엇인지 고찰하여 보았다. 먼저 초기와 중기의 주요한 연구들은 정책혁신 및 확산이라는 연구 주제에 관하여 넓은 반향을 불러 온 동시에, 후속 연구들을 위한 중요한 이론적. 방법론적 기초를 제공하여 주었다. 이들 연구를 뒤따르는 최근의 후속연구들은 다양한 정부수준에서 정책혁신의 확산에 관한 분석, 보다 엄밀한 실증분석에 기초한 경험 연구, 정교한 이론모형의 개발 등을 통하여 정책혁신의 확산메커니즘을 보다 명확히 밝혀 내는 한편, 이론의 일반화에 기여하고 있다. 향후 연구들 역시 더 다양하고 엄밀한 실증 연구와 이론모형개발, 정책채택의 참여자들에 관한 사례연구 등을 통하여 정책혁신의 확산이론의 일반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편. 우리나라의 정책혁신과 확산연구는 짧은 지방자치의 역사라는 역사적 체약 하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이 분야 의 연구들은 최근 연구업적을 참고하되, 우리 고유의 정치. 사회적 특칭을 고려하여서 진일보한 연구실적을 얻어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ummarizes and examines seminal studies and notable points of recent researches done based on the framework of Policy Innovation and Diffusion. and finally find how the policy innovation and diffusion studies responds to the criticism and improve itself. and what is necessary for this study field to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public policy research. First. early studies of policy innovation and diffusion aroused policy scientist`s interest in this topic and provided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foundation for the follow-up studies. Also the recent studies put more focus on enhancing the analytical model with more refined notions and providing more empirical evidence on the causal theory so that the policy innovation and diffusion phenomena be better predictable by and more consistent with their theory. Policy innovation and diffusion studies of Korea should utilize the recent development in this study field and apply carefully the theory and models of policy innovation and diffusion to the Korean cases.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of Korea.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