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32.214
3.14.132.214
close menu
KCI 등재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영역" 평가지표 비교연구: 유치원, 보육시설, NAEYC, QIAS
Research on Accreditation Index of "Area of Curriculum of Facilities": Kindergarten, Child Care Centers, NAEYC, QIAS
방소영 ( So Young Bang ) , 부성숙 ( Sung Sook Pu )
UCI I410-ECN-0102-2012-370-00182578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유치원, 보육시설, 미국의 NAEYC, 호주의 QIAS 유아교육기관 평가지표 중 `교육과정` 영역의 평가지표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보다 나은 유아교육기관 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육과정 관련 지표의 영역, 내용 범주 등 전체적인 구성체계 및 평가방식에 차이가 있었지만, 교육과정 영역이 각 지표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비교적 높았다 둘째, 교육계획 수립의 적절성에 있어 한국의 지표는 문서화된 교육계획안 작정을 강조하였지만, 외국의 지표는 교육과정 구정의 기초가 되는 철학을 강조하였다. 교육내용 및 활동 제시에 있어, 유치원의 지표는 구체적인 교육내용을 제시하지 않았으나, 보육시설, NAEYC, QIAS의 평가지표는 구체적인 교육 내용 또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셋째, 일과 운영의 적절성에 있어 한국의 지표는 교사의 일과 계획에 따른 체계적 운영을 강조한 반면, 외국의 지표는 유아 중심의 일과운영을 강조하였다. 넷째, 교수-학습방법의 적합성에 있어, 유치원의 지표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측면을 강조하였으나 외국 지표는 유아 주도, 유아 참여, 유아의 개인적 발달과 유아가 속한 사회적 특성 파악 등을 강조하였다. 다섯째, 평가의 적절성에 있어 모든 지표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은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평가 및 그 평가결과를 새로운 계획에 반영 하는 것이었다. 평가의 내용에 있어서 한국의 보육시설은 교육목표나 활동계획대로 진행이 되었는지를 주로 평가하였으나 다른 지표들은 프로그램, 유아발달 등 다양한 내용과 방법을 평가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of better accreditation index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for "curriculum" areas among accreditation index in Korean kindergaren child care centers, NAEYC in US, QIAS in Australia. As a result, index areas which is related with curriculum, the structural system in contents category, number of index and evaluation method were different Second, on the propriety of education planning`s, the index in Korea stressed on the writing of documented education plan while the case in overseas focused on the basic philosophy which is the fundamentals of curriculum composition. Third, on the propriety of task and operation, index in Korea emphasizes the systematic operation based on teachers` task and plan, on the other hand index in overseas stressed child-focused task and operation. Fourth, on the propriety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 index in kindergarten stressed strategic sid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eaching-learning and it suggested interactive method with comprehensive terms while child`s leading, participation, individual development and futhermore the understanding on social characteristics that child is belonged were emphasized in Korean child care centers, NAEYC, QIAS. Fifth, on the propriety of evaluation, child care centers in Korea focused on the evaluation of curriculum progress and educational goal while other index were mainly evaluating programs, various contents and methods including child developmen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