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67.251
18.222.67.251
close menu
KCI 등재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문화적 담론
Cultural Discourse on Special Education`s Identity
민천식 ( Chun Sik Min )
지적장애연구 12권 4호 213-229(17pages)
UCI I410-ECN-0102-2012-370-001739057

본 연구는 특수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문화적 담론을 하려는 문헌연구로써,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통합교육과 다문화교육은 결국 정치적, 문화적으로 주어진 환경에서 교육자들과 교육체제의 차이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수교육계는 문화와 공간에 대한 더욱 복합적인 견해를 가짐으로써, 특수교육의 배치에 대한 쟁점을 넘어 이러한 현상들을 검토해야 한다. 일반학급과 일반학교에서 교육받는 장애학생의 수만을 보고하는 지금의 강조는 통합교육운동이 강화되고 있다는 환상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강조는 특수교육 대상자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이들의 역사성 및 사회성 그리고 장애 구조에 관한 사회문화적 근원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교육개혁의 문화적 정책의 복잡성이 표면으로 들어남에 따라, 그리고 특수교육 변화에 대한 문화적 복합성의 영향이 강해짐에 따라, 특수교육계는 공간과 시간에 대한 다중의 척도와 수준으로 조정되는 복잡한 문화적 매개에서 장애, 통합교육, 다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를 관련시켜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장애 및 특수교육 학문은 역사적으로 소외된 학생들을 위한 교육경험과 삶의 기회의 개선이 주요 관심사가 될 수 있도록 종전의 개별적인 관점을 초월하고 사회정의 수준을 고취시켜 나아가 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This article is research to cultural discourse on special education`s identities. The conclusions which are drawn from the discussions reviewed are as follows. Inclus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re ultimately about how educators and educational systems deal with difference in politically and culturally charged context.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must examine these phenomena beyond special education placement issues, using more sophisticated views of culture and space. The present emphasis on reporting only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ing educated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and schools is creating the illusion that the inclusive education movement is consolidating. This emphasis also disregards both the historicity and sociality of who is being identified as disabled and the sociocultural roots of disability constructions. As the complexity of the cultural politics of educational reform surfaces and as its influence on special education transformations intensifies,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must concern theirselves with the study of disability, inclus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an elaborate cultural medium, mediated by multiple scales and planes of space and time. In this manner, disability and special education scholarship will transcend the traditional individualistic perspective and infuse a social justice dimension so that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xperiences and life opportunities for historically marginalized students are of central concern.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