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6.177.223
18.226.177.223
close menu
KCI 등재
지자체 공간정보화 수준분석 및 격차 완화방안
An Analysis on Spatial Informatization Level and Means of Digital Divide Mitig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김걸 ( Kirl Kim ) , 김영호 ( Young Ho Kim )
UCI I410-ECN-0102-2012-980-001595506

정보화 시대에서 공간정보는 국가행정업무와 시민서비스 및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 크게 기여하기 때문에 정보사회에서 매우 주요한 정보로 인식된다. 정보사회가 고도화 되면서 정보화의 지역간 격차, 즉 정보격차(digital divide)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간 공간정보격차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공간정보는 정보의 생산과 관리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정보화 사회에서 더 심각한 격차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격차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공간정보격차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248개 지방자치단체의 공간정보화 수준을 분석하여, 지역간 공간정보격차를 분석한다. 그 과정에서 지자체의 공간정보화 수준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하며, 동시에 이러한 공간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행정규모에 따른 공간정보격차는 명확하게 확인되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 단체에서 재정, 정책, 계획, 그리고 평가체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노력을 통해 공간정보화 격차를 완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Spatial information is commonly evaluated very important because it plays significant roles in national administrations, public service, and efficient land use in the national territory. As information society matures, regional gap in information, digital divide, is frequently considered inevitable. The digital divide is identically applicable to spatial information among different regions. Particularly requiring huge financial investment i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spatial information may lead to serious digital divide in a country.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digital divide,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about digital divide in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digital divide of spatial information by analyzing whole 248 government administrative units in Korea. In the process, this study presents prototype of digital divide analysis about spatial information and provides technical suggestions to reduce the digital divide. The result shows that Korea has regional gaps, the digital divide, in spatial information, and the digital divide was particularly dominant between metropolitan areas and rural villages. This study suggests multi-dimensional suggestions in political, financial, planning and evaluation perspectives to handle the digital divid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