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48.135
3.144.48.135
close menu
KCI 등재
근대 계몽기 교육학과 어문 교육
Pedagogy and Language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허재영 ( Jae Young Heo )
한민족문화연구 36권 397-420(24pages)
UCI I410-ECN-0102-2012-910-001875165

이 논문은 근대식 학제가 도입되고 ‘교과’의 개념이 확립되는 과정에서 어문 교과가 어떻게 인식되어 왔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근대 계몽기는 오늘날과 같이 교육학과 교과 교육학이 철저히 구분되지 않던 시대였지만 각종 교육 이론이 도입되면서 어문 교과의 성격이나 교육 내용,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진 점이 특징이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 계몽기 교육학의 위상을 교과학과 관련지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유옥겸(1908)과 학부 편찬(1910)의 교육학 저서에서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특히 유옥겸(1908)은 일반적인 학문과 기술의 차이를 논의하면서 교육학이 종합과학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밝힌 바 있는데, 이는 이시기 교과학의 발달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교육학에서 논의된 교육 목표나 교수 학습 방법 등은 대체로 어문 교과에도 적용되었다. 다만 이 시기 교육학이나 어문 교과에 관한 연구가 실제 교육 상황에서 어느 정도 적용되었는지를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대한 연구는 당시의 교수 학습 자료를 좀 더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증명해야 할 과제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후속 연구 과제로 남겨 두었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the trends of the pedagogy and language subjects in Korea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1895~1910). In this times, many of the light and leading man wrote pedagogy or education articles. Yu Geon wrote ``the principal of pedagogy``(1906) and he insisted that pedagogy was the educational goals and skill etc. Yu Okgyeom(1908) divided between science and skill of education. He conclude that pedagogy were synthetic science. The subject of Korea was established gradually in this times. The subject of Korea were not unified single name, goals, contents and teaching skills. But I think that the pedagogy influenced on language subjec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