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48.178
18.118.148.178
close menu
KCI 등재
국어 교수 화법의 유형적 특성에 관한 분석적 고찰 -국어교사의 평가/피드백 발화를 중심으로
Analytical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structional Communication
박재현 ( Jae Hyun Park ) , 김호정 ( Ho Jung Kim ) , 남가영 ( Ka Young Nam ) , 김은성 ( Eun Sung Kim )
새국어교육 86권 125-156(32pages)
UCI I410-ECN-0102-2012-710-00182113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연구는 국어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 화법의 유형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가 외적 형식과 기능을 살펴보는 데 집중하고 선언적인 방향 제시에 그쳤던 한계를 극복하고자 실제 국어 수업 대화를 분석하여 현장 국어 수업에 대한 입체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일반적인 교수 화법의 바람직한 전형을 찾아 범주화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가 그 수업을 이끄는 교사의 화법과 어떻게 관련되어 어떻게 움직이는가를 살피는 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우수 국어 수업 영상 17편(788분 분량)을 수집한 후 모두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대화를 분석할 때에는 교사가 의도했던 반응이 나올 때까지의 대화 연속체를 기본적인 분석 단위로 하여 I-R-E/F가 연쇄되는 대화 양상을 분석하였고, 특히 평가 및 피드백 발화에 초점을 두었다. 영상 자료 분석과 더불어 현장 교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분석된 교사 화법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반응을 유도해 낼 수 있는 질문이 제시되지 못하는 문제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고, 다양한 교사의 평가/피드백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 대화를 교실 맥락 속에서 분석하여 ①교사의 평가/피드백 발화를 평가할 때에는 해당 발화가 포함된 IRE/F의 연쇄가 수업의 어느 단계에서 전개되고 있는지를 먼저 고려하여야 한다는 점, ②닫힌 질문, 빈칸 메우기식 질문도 수업 대화를 효율적으로 이끌고 학습자의 사고를 순차적으로 유도하는 교육적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는 점, ③‘교사 개시 발화-학생의 반응-교사의 평가/피드백’ 발화로 구조화되는 수업 대화를 분석할 때에는, 교사-학생-교사 간에 주고받는 대화가 이른바 ‘집단 대화’의 형태를 취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주장하였다. 이와 더불어 심층 면담을 통해, 교사 화법 양상의 실제적인 기능과 의미를 함께 언급하였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structional communication. 17 Korean language lessons captured on video as the selected cases of ``good teaching,`` were carefully analyzed, and then three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epth regarding the results. In the classroom discourse of I-R-E/F (Initiation-Response-Evaluation/Feedback) structure, speech of teaching plays a very important role to lead interactive classroom conversat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s a result, the problematic features that the question to induce the students` response was not presented revealed. In the analysis of Korean classroom data, We suggest that 1) When the speech of teacher is evaluated, the phase of the class should be considered first. 2) Closed questions, and filling in the blank questions are able to lead the classroom conversation effectively in order to encourage students` thinking 3) When the speech structure of ``teacher start-student response-teacher evaluation/feedback`` is analyzed, the dialogue would be the form of ``collective dialogue``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these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discuss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