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105.137
3.146.105.137
close menu
KCI 등재
문화상품의 수출효과 분석 -한국의 대(對)중, 대(對)일 수출 비교를 중심으로-
The Analysis on Export Effects of Cultural Goods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s Exports between China and Japan
남수중 ( Soo Joong Nam )
UCI I410-ECN-0102-2012-320-00248138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논문은 한국의 대중국 및 대일본 문화상품 수출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자료를 비교함으로써 문화상품 수출의 영향을 추정하는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비교할 경우, 상대적인 문화적 근접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중국과 대일본 문화상품 수출 효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한국의 대중국 문화상품 수출이 소비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정의 관계이며 대일본 문화상품 수출 효과보다 큰 값을 나타내고 있다. 문화상품 국제유통의 관점에서 보면, 이런 결과는 비록 한-중-일 3국의 수출구조의 변화가 영향을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문화산업정책과 문화 수용과정의 차이(``한류``), 문화상품 시장규모와 수요의 불확실성 등이 작용한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한국은 문화상품 수출 효과가 상이하다는 것을 고려하여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가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 the export effects of cultural goods,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s exports structures between China and Japan. Despite the relative high cultural proximity between China and Japan,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Korea`s exports effects of cultural goods have different. It is possible that Korea`s cultural products exports to China had positive effects on exports of the consumer goods, and these had more influence than Japan at which had negative effects in some periods. Although structural changing in China, Japan and Korea exports have some impacts, on international distribution of cultural goods approach these results give us that some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to determine the volume and direction of trading cultural goods. These include the demand uncertainty of the cultural goods, the relative size of importing and exporting countries, the cultural policy of importing country, the cultural acceptance process("Hanryu"). As a results, Korea`s governments and industries have to promote the discrimination policy between countries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export good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