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6.97.64
3.136.97.64
close menu
KCI 등재
세책본 고소설의 개작 양상 -<화충선생전>을 중심으로
Adapting Aspests of Korean Classical Novels for Lending -Focused on Hwachungsunsaengjeon
최진형 ( Jin Hyung Choi )
반교어문연구 30권 121-148(28pages)
UCI I410-ECN-0102-2012-360-002345257

19세기에서 20세기 초반 사이에 서울의 세책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고소설의 유통과 향유 양상을 살펴보면 고소설에 쏟아졌던 당대인들의 관심과 애정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그 관심과 애정 만큼이나 다양하게 시도되었던 상업적 이윤 추구의 단면을 포착할 수도 있다. 상업성을 우선시하였던 세책본은 필사본이나 방각본 등 경쟁 관계에 있었던 다른 이본과 차별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을 터이므로 그 특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과정에서 세책본 고소설에 관한 연구를 좀더 심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장끼전> 작품군을 대상으로 세책본 고소설의 개작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세책본 고소설이 지닌 특성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원래 판소리 열두마당의 한 작품이었던 <장끼전>은 창을 잃으면서 다양한 계통으로 전승되었다. 그 계통은 크게 판소리 향유와 연관된 계통, 가사의 향유와 관련이 깊은 계통, 소설의 향유와 연계된 계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소설 향유와 관련된 계통에 2종의 세책본이 있어서 주목되는데, 규장각 소장본 <화충선생전>과 이화여대 도서관 소장본 <화충전>이 그것이다. 이 두 종의 텍스트는 일반적인 <장끼전> 작품군의 텍스트 보다 분량 면에서 상당한 정도로 확대되어 있고 서사단위도 다양하게 나타나는 등 꽤나 이질적인 모습으로 개작된 양상을 보인다. 개작은 크게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시도되었다. 기존의 서사단위를 유지하면서 서술을 확장하는 방법이 한 가지이고, 새로운 서사단위를 추가함으로써 분량을 늘리는 동시에 내용에 변화를 주는 것이 다른 하나이다. 시조나 잡가 등 당대 유행하던 대중문화 텍스트가 공유사설로 쓰이기도 하고, <서동지전> 등 동물우화소설의 독서 경험이나 양식 다툼 관련 설화의 향유 경험을 반영하는 서사단위가 채용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개작 시도를 통해 원래 텍스트의 분량이 두배 가까이 늘어났으며 별개의 작품이 아닌가 느껴질 정도로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변화는 상업적 이윤 추구를 우선시하는 세책본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책의 권수를 늘리고, 내용의 흥미성을 추가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 개작은 세책으로 인한 수입 증대라는 목적 달성을 추구하는 것이라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업적 개작의 결과가 성공적이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세책본의 표지나 배접지 등에 적힌 향유자의 낙서 내용에 부정적인 것이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적어도 <장끼전>의 세책본은 향유자에게서 긍정적 반응을 얻어내지는 못한 것 같다.

We could figure out the affection and concern for the Korean classical novels by the time`s people if we examine aspects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s`` circulations and enjoyment through book rental shops in Seoul between 19th and early 20th century. We also could notice a side of pursuing profit which were tried from various sides as much as the affection and concern. The novels for lending must have some different characteristics to other copies like handwriting copies and printed copies because the novels made for the purpose of the commercial via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concretely, we could improve the research about Korean classical novels for lending. I try to find a side of the characteristic out by researching the adapting aspect of the Korean classical novels for lending from the work group of Janggijeon in this thesis. In basically, Janggijeon was a part of 12 Pansori works. But it lost its song(Chang), Janggijeon has been passed down through various systems which are relating to enjoying Pansori, relating to enjoying old form of Korean verse(Gasa) and relating to enjoying Korean classical novel. There are two books in the system of relating to enjoying Korean classical novel-Hwachungsunsaengjeon possessed in Kyujanggak and Hwachunggjeon possessed in Ewha women`s university library. These two texts show very different adapting aspect to others because of expansion in quantity and variety descriptive units. Adaption had been tried from two ways mainly. A way is to expand its narration maintaining existed descriptive units. The other way is to expand its quantity with adding new descriptive units and change its contents at the same time. Popular mass cultural texts such as Sijo and Japga of the time were used as common verses. Descriptive units which reflected reading experiences of animal fables such as Seodongjijeon or enjoying experiences of food-competing tales were also used. The original text almost had doubled in quantity so it became a different work nearly through the try of adaption. This change shows a character of pursuing profit of novels for lending. Increase its volume and adding more interesting content were done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income. I couldn``t figure out weather these adaption for the commercial purpose were successful or not in detail. If we consider there are too many negative opinion on the cover and backing paper, at least Janggijeon for lending couldn``t gain positive response from the reader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